태그 보관물: 모바일 게임

OpenWrt 공유기로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가능 확인

공유기에 OpenWrt 설치 후에 미꾸리지 VPN을 이용해 마비노기 모바일에 접속 되었고 문제 없이 플레이 가능한걸 확인해서 정보를 공유한다.

OpenWrt란: 공유기 제조사가 설치한OS가 아닌 커스텀 펌웨어로 설치하는 OS. 유저 입장에서는 공유기 설정 화면이 바뀜.
공유기 설정 화면이 이런 화면이 된다.
Luci - OpenWrt 인터페이스

      공유기 : ELECOM WRC-1167GST2 야후프리마에서 쿠폰 적용해서 750엔에 구입
      설치 OpenWrt 버전 : 23.05.5 미꾸라지가 지원하는 OpenWrt 버전 중에서 현재 기준 최신
      설치 OpenWrt 파일명 : openwrt-23.05.5-ramips-mt7621-elecom_wrc-1167gst2-squashfs-factory.bin
      미꾸라지 설치 파일명 : mudfish-pi_2.6.9-1_mipsel_24kc.ipk, luci-app-mudfish-pi_git-24.225.74088-5035535_all.ipk

공유기에 OpenWrt 설치는 기존 엘레콤 공유기 설정 화면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OpenWrt 파일 지정해주면 끝.
그 다음부터는 OpenWrt 에서 설정인데 지식이 없으면 쉽지 않다.
나는 집 무선 공유기에서 와이파이로 OpenWrt 공유기로 연결하고 유선으로 다시 데스크탑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했다.
인터넷 – 광 모뎀 – 집 공유기 – (무선) – OpenWrt 공유기 – (유선) – 데스크탑PC

OpenWrt 공유기에 Luci – 네트워크 – 무선으로 가서 집 공유기에서 뿌려주는 와이파이를 잡는다. 소프트웨어 설치를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됨.
미꾸라지 설치는 미꾸라지에서 미리 파일을 받아두고 Luci – 시스템 – 소프트웨어에서 파일 업로드로 설치.
미꾸라지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소프트웨어에서 설치했다.
미꾸라지 설치에는 두개의 파일이 필요한데 mudfish-pi_2.6.9-1_mipsel_24kc.ipk 와 luci-app-mudfish-pi_git-24.225.74088-5035535_all.ipk 이다.
나는 Luci용 파일 하나만 설치하고 왜 안되나 헤맸는데 두개이니 두개 다 잘 설치하길 바란다.
설치에 딱히 문제도 없고 무선 랜 잡는데서 좀 헤매고… 뭐 여러군데 조금씩 헤매기는 했는데 두어시간만에 전부 설정 완료 했다.

버츄얼 박스를 쓸 때는 네트워크 지연이 가끔 떴고, 그 외에도 뭔가 느린 느낌이 있었는데 다 사라졌다. (게임 더 해보고 뭔가 다르면 업데이트 하겠다.)

세계 여러나라에서 이 블로그 글을 참고해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각자 사는 나라에 OpenWrt 지원하는 공유기가 있는지 찾아보고 구해서 해 보시길 추천한다.

일본이라면 내가 산 ELECOM WRC-1167GST2 가 추천이다. 야후프리마나 메루카리에서 1500엔 전후로 많이 팔고 있다.
이것 말고도 OpenWrt 설치가 간편한 공유기들도 있는데 너무 많아서 여기 쓰기에는 어렵고 OpenWrt 공유기로 검색해 보면 정보는 꽤 나와있다.
싸게는 500엔부터 시작이니 시간 날때 한번 셋팅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버츄얼 박스에 OpenWrt with 미꾸라지 설치

마비노기 모바일에 해외에서 접속시 해외 IP가 차단 되어있어서 VPN을 사용 해야하는데 VPN 프로그램이 게임을 실행하는 PC에 실행 되어 있을 경우 게임 접속은 가능하지만 3분 정도 후에 에러 88이 나오고 게임이 종료 되어 버린다.
해결 방법으로 PC에 버츄얼 박스를 설치하고 버츄얼 박스 안에 공유기 OS인 OpenWrt를 설치하고 거기에서 VPN 접속을 하면, VPN 프로그램은 윈도우에 실행 된 것이 아니니 에러 88이 안나오고 게임을 계속 할 수 있다.
OpenWrt 에서 VPN 접속은 뭐든 가능하지만 미꾸라지 VPN 에서는 미꾸라지 VPN을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전부 마쳐둔 OVA 파일을 준비 해 두고 있어서 버츄얼 박스/VM Ware에 임포트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가 있어서 편리하다.

기본적으로는 아래 미꾸라지에서 제공하는 메뉴얼대로 진행하면 자신의 PC가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미꾸라지 OVA 설치 메뉴얼

위 메뉴얼 대로 설치하는 스크린샷을 붙여두니 뭔가 잘 설정이 안된다고 하면 확인해 보기 바란다.

준비 과정

VirtualBox 를 설치. 아래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Windows Hosts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미꾸라지 VPN OVA 파일 다운로드. 최신 버전 OpenWRT_23.05_with_Mudfish_2.6.9.ova 파일을 다운로드 해 둔다.
https://mudfish.net/releases/openwrt/ova/

설치 과정

1. 버츄얼 박스에 OVA 파일을 임포트
OVA 파일 임포트

오른쪽 폴더 버튼 눌러서 OVA 파일 선택
오른쪽 폴더 버튼 눌러서 OVA 파일 선택
MAC 주소 정책
MAC 주소 정책을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포함으로 변경
임포트 완료, 설정으로
설정 버튼 – 네트워크 선택

어댑터 #1

어댑터 #2

2. 버츄얼 박스 네트워크 확인

네트워크 확인
도구 – 오른쪽 버튼 누르고 네트워크 선택

IPv4 주소가 192.168.56.1, 그 밑에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일 것. (나는 다른 설치된 것들 때문에 네트워크가 두개이고 한개가 정상이다.)

네트워크 확인 DHCP 서버
DHCP 서버 활성화

DHCP 서버 탭 눌러서 DHCP 서버 활성화가 안되어 있으면 활성화 하고 아래 주소로 되어 있을 것. 안되어 있으면 수정.
서버주소:192.168.56.2
서버 마스크:255.255.255.0
최저 주소 한계:192.168.56.3
최고 주소 한계:192.168.56.254

적용 버튼을 누른다.

3. OpenWrt 기동

시작 버튼
OpenWrt 시작

OpenWrt 콘솔

4. 윈도우 라우트 설정 수정

윈도우키 누르고 cmd 입력 후, 커맨드 프롬프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서 관리자로 실행을 선택.
아래 커맨드를 입력

cmd 창에서 route delete, route add

192.168.56.2로 ping을 날려본다.

192.168.56.2으로 핑 성공
ping 결과는 문제 없음

5. 미꾸라지 UI 설정

윈도우에서 브라우저를 열고 http://192.168.56.2:8282/ 로 접속해 본다.

설정 - 프로그램
설정 – 프로그램
FullVPN 서버 선택
FullVPN 서버 선택

서버는 KT, SK, Kornet이면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에 문제가 없다. SK는 성능이 안좋은 서버이니 KT 중에서 고를 것.

연결하기
연결하기

나는 처음에 연결하니 오른쪽에 서버에 접속 안되는 에러가 몇개 뜨고 연결이 안되어서 연결 끊고 다시 하니 잘 연결 되었다.

[모비노기] ipv4, ipv6 인터넷에 따른 차이

일본에서 내가 쓰는 인터넷이 ipv6 플러스라는 방식으로 서비스 되는데 기본적으로 ipv6 인터넷이지만 ipv4 사이트(ipv4를 사용하는 게임도)에 접속할 시에는 ipv4 로도 접속이 가능한 뭔가 하이브리드스러운 인터넷이다.
이게 네트워크 구성할 때도 헷갈리게 만드는데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시에는 ipv4 만 사용하기 때문에 ipv6는 무시해도 좋다.

듣기로 우리나라 인터넷은 특수한 경우 빼고는 전부 ipv4 인터넷이고, 게임 같은 경우도 ipv4 만 사용하기 때문에 VPN도 ipv4 만 바꿔주면 문제 없이 접속이 된다.

ipv4, ipv6가 전부 일본 IP인 상태.
ipv4, ipv6가 전부 일본 IP인 상태.
ipv4만 한국 IP(미꾸라지 VPN) 로 바뀐 상태.
ipv4만 한국 IP(미꾸라지 VPN) 로 바뀐 상태.

ipv4를 복사해서 조회해 보면.

ipv4를 복사해서 조회해 보면 한국으로 나온다.
ipv4를 복사해서 조회해 보면 한국으로 나온다.

게임은 ipv4만 사용하기 때문에 ipv6는 일본 지역으로 나오더라도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이나 플레이에는 지장이 없다.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오류 가이드

원래 썼던 글이 가독성이 너무 안좋아서 AI 제미니한테 부탁해서 좀 고쳐봤다.
내 경험을 사족으로 판단해서 많이 짤라버리는데 전달하고 싶은 내용 자체는 더 잘 정리되는 듯. ㅋ

시작하며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접속하려니 여러 문제에 부딪혔다. 넥슨이 오래된 회사인 만큼 보안 체계도 복잡하게 구축된 느낌이다. 해외 접속 시도는 당연히 문제가 따르겠지만, 보안이 과도한 탓인지 한국 내 사용자 중에서도 IP가 차단되거나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때문에 접속이 안 된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내가 열흘 넘게 직접 테스트하며 겪은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오류와 각종 메시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PC와 모바일 환경 모두를 다루며 넥슨의 공식 발표가 아닌 순전히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에 기반한 정보이므로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주요 접속 오류 및 메시지 유형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시 마주칠 수 있는 대표적인 오류 메시지와 그 원인과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 “해외 IP” 메시지 – 차단된 국가에서 접속하였습니다. 해당 국가는 서비스 준비중입니다.
    • 원인: 해외 IP 주소로 게임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한다.
    • 해결: VPN을 사용하여 한국 IP 주소로 변경해야 한다.
  • “차단된 IP” 메시지 – 현재 IP 주소에서는 게임 실행이 제한되어 있습니다.(1204)
    • 원인:
      • VPN으로 한국 IP를 사용했지만, 해당 IP가 클라우드 서버(AWS, Oracle Cloud 등) IP일 경우. IP 자체보다 ISP 이름으로 판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사용한 VPN 서비스의 IP가 과거 넥슨 게임에서 제재 이력이 있는 경우. (넥슨이 모든 VPN IP를 차단하는 것 같지는 않다. 미꾸라지VPN 등 작동하는 서비스도 존재한다.)
    • 해결: 다른 VPN 서버 또는 다른 VPN 서비스를 이용해 IP를 변경해야 한다.
  • “에러 88” (PC 환경) – 운영 정책에 의해 게임을 종료합니다. (ERROR 88)
    • 원인: PC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넥슨이 허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감지된 경우 발생한다. (예: 미꾸라지VPN 클라이언트, Softether 클라이언트, 기타 VPN 프로그램 등)
    • 특징: 게임 접속 후 약 3분 뒤에 오류 메시지가 뜨며 게임이 강제 종료된다.
    • 해결:
      • Ctrl+Shift+Esc로 작업 관리자를 열어 의심스러운 프로세스를 찾아 종료시킨다.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가 원인일 수 있으니, 해당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윈도우 시작 시 자동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미꾸라지, Softether 등 많은 VPN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 서비스를 설치한다.)
      • 설치된 것만으로는 문제없으나, 실행 중이면 안 된다.
      • 원인을 찾기 어렵다면, 가상 머신(VirtualBox 등)이나 포맷 후 윈도우 재설치 환경에서 마비노기만 설치하여 테스트해 볼 수 있다.
  •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사용” (안드로이드) – Illegal program has been detected!(120/0)
    • 원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VPN 앱을 사용하여 접속한 경우 발생한다. 안드로이드 OS 자체에서 VPN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데, 마비노기 앱이 이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 해결: 스마트폰 자체의 VPN 앱 사용 대신, 아래 ‘권장 해결책’ 항목에서 설명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주의! IP 변경 및 L.-9 오류

게임 이용 중 IP 주소가 변경되는 상황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 위험 상황:
    • 게임 플레이 도중 IP 변경
    • 로그인 과정 중 IP 변경
    • 로그인 완료 후 IP 변경
  • 결과: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L.-9 오류(메시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세요. (ERROR L.-9))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오류는 클라이언트 밴(Client Ban)으로 추정되며, 발생 시 어떤 방법을 써도 해당 오류만 계속 나타난다.
    • L.-9 오류 발생 위치: 마비노기 게임 시작 시 ‘모닥불 숲’ 화면
    • 해결: 마비노기 앱/클라이언트 완전 삭제 후 재설치 외에는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재설치 시 다운로드 속도가 매우 느렸다.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에러이다.)
  • 예방: 안정적인 VPN 연결 유지가 중요하다. Softether와 같이 서버 불안정 시 연결이 끊기며 원래 IP로 돌아갈 수 있는 방식보다는, 안정성이 확보된 유료 VPN이나 직접 구축한 VPN(가족/지인 집 등) 사용을 권장한다. (나는 이 때문에 미꾸라지VPN을 사용 중이다.)

문제 없는 경우 (테스트 결과)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 게임 다운로드 중 VPN 연결 끊김: VPN으로 한국 IP를 잡아 게임 다운로드를 시작한 후, 다운로드 도중에 VPN 연결이 끊겨도 괜찮았다. 다운로드 완료 후 다시 VPN을 켜고 게임을 실행하면 된다. (PC/모바일 모두 확인했다.)
  • 스마트폰 SIM 카드: SIM 카드 유무는 접속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SIM 뺀 적이 없다. ESIM은 모르겠고, 일본 이외 다른 국가도 모르겠다.
  • GPS 위치 정보: 마비노기 모바일 앱이 GPS 권한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GPS 위치는 문제되지 않는다.

권장 해결책 및 마무리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안정적으로 즐기기 위한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IP 확보: 반드시 VPN 등을 통해 한국 IP 주소로 접속해야 한다.
  2. 게임 실행 기기 내 VPN 프로그램 금지: 마비노기를 실행하는 PC나 스마트폰에는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앱이 직접 실행되고 있지 않아야 한다. (에러 88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오류 방지 목적)
  3. 권장 접속 방식:

이 방법들을 통해 넥슨의 보안 감지를 우회하고 안정적으로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즐기길 바란다.

버츄얼 박스를 통한 인터넷 접속시 route 설정에 대해

[PC]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버츄얼 박스 feat. 미꾸라지에서 윈도우의 route 설정을 바꾼다.

route가 뭔가 하면 윈도우에서 인터넷으로 접속할때 어디를 통해서 접속할것인지를 정해둔 설정이다.
윈도우 커맨드 프롬프트(윈도우키 누르고 cmd 입력-마우스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로 실행. route 설정을 바꿀때는 관리자만 가능)을 열어서 route -4 print (-4는 ipv4정보만 보기) 명령을 입력하면 현재 route 설정을 볼 수 있다.
대략 이런 내용…

보는 방법은 [Route] 윈도우 라우팅 테이블 설정 여기 블로그 등에서 보면 된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윈도우에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에서 VPN 프로그램 등 문제가 있는 녀석이 있으면 에러 88을 띄우고 게임을 종료시켜 버리기 때문에 우리가 필요한 VPN 연결은 버츄얼 박스 안에서 해결하고, 윈도우에서는 다른 VPN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버츄얼 박스에 인터넷 연결을 이용한다.
[PC]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버츄얼 박스 feat. 미꾸라지 이 글에서 최종적으로 버츄얼 박스로 통하는 인터넷 연결은 IP 192.168.56.2인데, 윈도우가 인터넷을 연결하려고 할때 이 IP를 사용하도록 해야한다.
여기서 route 명령이 필요한데. 먼저 route delete 0.0.0.0 명령으로 모든(0.0.0.0) IP로 나가는 접속에 대한 기존 설정을 지운다.
그런 다음 route add 0.0.0.0 mask 0.0.0.0 192.168.56.2 metric 1 명령으로 모든(0.0.0.0) IP로 나가는 접속을 192.168.56.2 로 연결하고, metric 1로 최우선적으로 적용시킨다.

이 설정 이후부터 모든 인터넷 접속이 버츄얼 박스를 통하게 되는데 버츄얼 박스 안에 openwrt에서 미꾸라지 연결 중이면 VPN 연결을 통할것이고, 미꾸라지 연결 중이 아니더라고 버츄얼 박스를 통해서 인터넷을 하게 된다.
이 설정은 윈도우 재시작시 지워지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버츄얼 박스가 종료 되면 인터넷 접속이 안되게 된다. 초보자가 route 설정을 인터넷 검색도 못하는 상태로 복구시킨다? 너무 어려운 문제다.
그래서 미꾸라지 메뉴얼에는 윈도우 재시작시에는 지워지는 명령으로 알려주고 있는거다.

하지만 아래 명령으로 route 설정을 고정시킬 수 있다.

-p 옵션을 주면 영구적인 설정이 된다. (그래도 route delete 0.0.0.0 하면 지워짐. 재시작시 안지워지는 것 뿐.)
단, 이렇게 하는건 추천하지 않는다. 윈도우가 버츄얼 박스가 기동되지 않으면 인터넷이 안되기 때문에…

마비노기 게임 후에 버츄얼 박스도 끄고 인터넷을 원래대로 돌리고 싶으면
route -f 명령으로 모든 route 설정을 지우고, 윈도우키 누른 후 npca.cpl 입력해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으로 가서 인터넷 연결에 사용하는 유선랜, 무선랜 어댑터를 무효화 했다가 다시 유효화 하면 route 설정이 돌아온다.
안돌아올경우에는 어댑터의 ipv4 설정을 만져줘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윈도우 재시작 후, 버츄얼 박스 없이 인터넷이 되는 상태에서 route -4 print 명령으로 현재 설정(게이트웨이 IP를 봐둔다)을 봐두고 버츄얼 박스로 연결하는 설정으로 게임 하다가, 게임 끝나면 다시 route delete 0.0.0.0 으로 모든 IP에 대한 설정을 지우고, 처음에 봐둔 설정을 다시 입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인터넷이 복구 되기는 하는데 설정이 꼬이는지 내 환경(고정 IP 사용)에서는 약간 느리거나 해서, 결국 npca.cpl 치고 인터넷 연결된 어댑터의 ipv4 설정으로 들어가서 직접 디폴트게이트웨이 설정을 입력하게 된다.
고정 IP를 사용하지 않고 DHCP 자동할당 IP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문제가 없을 수도 있겠다.

어쨋든 잘 모를때에는 route -p add는 안쓰는 것이 좋다라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