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Endeavouros

[Cachyos, Endeavouros] 부팅 딜레이 없애기

Cachyos 나 Endeavouros 나 같은 arch 계열 리눅스인데 부팅 과정에서 보는 파일 위치는 또 약간 달라서 찾기 어렵게 해뒀다.
초기 설정이 부팅할 때 5초씩 기다리게 되니 0초로 설정해서 빠르게 부팅하도록 하자.

Cachyos

timeout 을 0 으로 설정한다.

Endeavouros

마찬가지 timeout 을 0 으로 설정한다.

[EndeavourOS/Arch] Enable Chrome Touchpad Gestures (Fix Missing Ozone/Flags)

노트북에 EndeavourOS 설치 후 세팅 중.
크롬에서 터치패드 두 손가락 ‘뒤로 가기/앞으로 가기’ 스와이프가 안 먹힘.
libinput-gestures 설치해서 xdotool로 맵핑하려 했으나, KDE Plasma가 Wayland 세션이라 xdotool 명령어가 안 먹힘.
Wayland에서 쓸 수 있는 ydotool을 쓰면 가능한 것 같은데 두손가락 제스쳐를 쓰면 스크롤이랑 겹쳐서 잘 안될거라고 제미니가 chrome flags로 해결하라고 한다.
chrome://flags 들어가서 Overscroll history navigation 켜면 된다는데, 최신 버전 크롬(google-chrome-stable)에서는 이 플래그 자체가 검색이 안 되고. Ozone 도 안 나온다.
아치 계열(EndeavourOS, CachyOS, Manjaro)은 ~/.config 경로의 플래그 파일을 읽어오니 강제로 옵션을 넣어주면 됨.

아래 두 줄을 넣고 저장.

크롬이 열려 있었으면 닫고 다시 실행한다.

이하, 영어 번역.

Setting up EndeavourOS on my laptop.
The two-finger swipe gesture (back/forward) wasn’t working in Chrome.

I tried mapping it using libinput-gestures and xdotool, but xdotool doesn’t work on KDE Plasma’s Wayland session.
While ydotool is an alternative for Wayland, Gemini advised against it due to potential conflicts with scrolling and suggested using Chrome flags instead.

Usually, enabling Overscroll history navigation in chrome://flags fixes this, but that flag (and “Ozone”) is completely missing in the latest google-chrome-stable.

Since Arch-based distros (EndeavourOS, CachyOS, Manjaro) read a flag config file from ~/.config, I can force the options there.

Add the following two lines and save.

Close and relaunch Chrome if it was running.

[Cachyos, Endeavouros] 한글 입력 추가하기 fcitx5

엔데버OS에서 ibus 입력기 설치 글은 보이던데 fcitx5는 안보여서 올려봄.

ibus는 우분투 쓸때 썼는데 한글, 영어, 일본어 입력을 다 쓰는 나한테는 입력기 변환에 키 설정하는게 뭔가 좀 안됐던 기억이 있던데 나중에 다시 해 봐야겠다.
cachyos 쓸 때 처음 fcitx5를 써 봤는데 키 설정이 디테일하게 되는게 너무 마음에 들었다.

설치 & 설정

엔데버나 캐시나 방법은 똑같다. 기본 설치된게 yay냐 paru냐 차이 정도.

엔데버에서는

cachyos에서는 yay 대신 paru를 쓴다.

일본어 입력기 추가할 때는 아래도.

설치 후에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가상 키보드 Fcitx 5 선택 (wayland용 선택해도 별 문제는 없었다.)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가상 키보드 -> Fcitx 5 선택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가상 키보드 -> Fcitx 5 선택

시스템 설정 -> 입력기 (없을 경우 시스템 재부팅이나 시스템 설정을 다시 열어보기)

시스템 설정 -> 입력기
입력기 추가->한글, mozc(일본어) 를 추가

한, 영, 일 입력기를 사용할 때는 입력기 설정에서 전역 옵션 구성하기 버튼 눌러서 스페이스 바로 오른쪽에 있는 変換키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편하다.
평소에는 한/영 전환으로 변환키를 쓰다가, 일본어 쓰고 싶을때는 Shift+변환키로 일본어 전환.

변환 키 설정
Toggle Input Method에 변환 키, 입력기 전환에 Shift+변환 키

윈도우에서는 Alt+Shift눌러서 한/영<->일/영으로 전환하고 쓰는데 fcitx5에서 전환하는 방식이 훨씬 편하다. 나 같은 경우는 검색할 때 한글 영어 일본어 다 쓰기 때문에 언어 입력 전환을 많이 하는데 편해진게 느껴진다. 이 맛에 리눅스 쓰지.

일본어 키보드 사용자 팁

일본어 키보드를 쓸 때, 윈도우에서는 한/영 입력시와 일/영 입력시에 특수문자@이나 [] 같은 키들 위치가 한/영 입력시에 한글 키보드로 바뀌어서 코딩할 때 불편하다.
리눅스에서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일본어 키보드로 지정해 두면 한글/영어 입력시에도 일본어 입력시와 같은 키로 특수문자들 입력이 가능하다. 이것도 참 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