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우분투 데스크탑 24.04 LTS

우분투 서버 24.04 LTS에 설치한 워드프레스에서 avif 이미지 포맷 사용하기 with gd or imagick

php8.3-imagick 모듈 정보
처음부터 이걸 설치했으면 아무 문제 없었을 것을…

게임 스크린샷을 풀사이즈로 올리니 이미지 파일 용량이 너무 커지는게 신경 쓰였는데, 우분투 서버 버전을 올리고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정리를 좀 하다 보니 워드프레스 공식으로 나온 새로운 이미지 포맷 지원 플러그인이 있길래 설치했다.
플러그인에서는 webp, avif 이미지 포맷을 지원하는데 webp 다음에 나온게 avif 포맷이고 지원하는 브라우저는 webp 보다 적다고 하는데 최신 브라우저는 전체적으로 더 좋은건 avif 라 avif 포맷으로 가기로 결정.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설정에서 avif 포맷을 선택하고 썸네일 등 이미지 재생성을 하려고 우분투 콘솔에서 wp media regenerate 커맨드를 실행했다.

여기서부터 문제가 발생하는데, 일단 처음엔 php에 있는 gd 모듈이 avif 포맷을 지원하지 않았다.
우분투 서버 24.04 버전에서는 php 8.3을 설치하는데 avif 를 지원한다고 하는 gd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도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에는 avif 지원을 하지 않는다고 표시 된다.
이래저래 알아본 결과 ppa(개인 패키지 저장소)에 있는 gd 모듈을 설치하면 문제 없다는 글을 발견해 리포지토리를 추가.

없을 경우

리포지토리 추가 후

업그레이드를 하면 php8.4도 같이 설치되더라.
php 버전이 두개가 설치되면 좀 헷갈림… php -v 해서 지금 작동하는게 어떤 버전인지 확인하도록. php 8.4가 설치되면 기본적으로 이게 우선된다.

워드프레스 관리화면에서 도구->사이트 건강->정보(탭)->미디어 처리 항목->GD 지원 파일 포맷에 AVIF가 추가 되어있을 것이다.
GD 버전은 2.3.3으로 업그레이드 이전과 같은게 함정.

우분투 콘솔에서 본 php 8.3과 8.4 버전 gd의 정보.

wp media geraerate 커맨드로 다시 avif 파일 생성을 시도해 보면 avif파일이 생성이 되긴하는데 곳곳에 경고가 뜨고, 파일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0byte 파일이 생성되거나 하더라.
예를 들면 gd가 팔레트 이미지를 지원하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
Warning: imageavif(): avif doesn’t support palette images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php 에서 gd 외에 이미지 처리를 하는 라이브러리가 imagick 이라고 하나 더 있는데 이걸 쓰면 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설치해 봤다.

8.3, 8.4 두 버전을 설치해야 되는 이유 → 우분투 서버 24.04 LTS PHP 버전이 여러개 설치 되어 있는 경우

그냥 깔끔하게 다 해결 된다.
avif 파일로 가고 싶으면 처음부터 imagick을 설치했으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듯.

우분투 데스크탑은 아직 못 써먹겠다.

24.04 LTS 버전이 나와서 노트북을 윈도우11->우분투 데스크탑으로 바꿔서 써 보려고 인스톨 했는데 온갖 문제에 시달리다 하루만에 포기하고 윈도우로 되돌아간다.

이하 내가 부딪힌 문제들.

내가 일본어 키보드를 쓰니 한/영 변환 문제는 이전에 쓴 글(커널 레벨로 우분투 키매핑 바꾸기 (일본어 키보드에서 한영키 사용)) 내용대로 해결을 했는데,
이것도 처음에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xmodmap으로 하라고하지만, xmodmap으로 해 보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먹히지 않거나, 브라우저를 재기동 안하면 안먹히거나, 스크린샷 키는 매핑이 안먹히거나 문제가 많아서 결국 keyd를 써서 깔끔하게 해결이 되었다. 하지만, keyd를 쓰는 방법은 옛날 글이라 찾기가 쉽지 않았다는거.

우분투 데스크탑 설치하고 기본 브라우저가 파이어폭스라 크롬 인스톨을 하려고 하는데 다운로드한 크롬의 .deb 파일은 더블클릭 실행으로는 인스톨이 안된다.
(추기: gdebi를 인스톨하면 gui에서 더블클릭 실행으로 인스톨 가능.)
dpkg -i xxx.deb로 설치가 되긴했는데 설치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어서 재기동하고 다시 설치하니 그제서야 크롬이 인스톨 됨.
그리고 최종적으로 우분투 부팅 직후에 크롬을 실행하면 무반응하는 문제 때문에 왼도우로 돌아간다.

윈도우 설치 USB를 만드려고 우분투에서 bootable usb를 만드는 방법을 찾아봐도 이방법 저방법 많았고, 그 중에서 비교적 간단한걸 찾아서 윈도우 USB를 만들고 부팅해 봤더니 에러를 뿜고 있고…

우분투를 10년 전부터 가끔씩 깔아서 써 보고 있는데 이런식이면 제대로 쓰기가 힘들지…
우분투 서버야 잘 쓰고 있지만, 데스크탑은 일반인용으로 만드는 것일텐데 크롬 설치/실행 정도는 문제 없이 되야지.

추가로 일본어로 우분투를 인스톨한 이후에 발견한 문제점.
1. 스피커 볼륨을 90% 정도 올리기 전까지는 소리가 안남. 90% 정도 되는 특정 위치까지 볼륨을 올리면 급속도로 볼륨이 올라가 소리가 너무 크게 남. JBL Pebbles USB 스피커 사용 중.
2. 한국어를 처음에 인스톨 안할 경우에 ibus-korean인스톨을 하면 추가되는 한국어(Hangul) 이외에 ‘조선어,한국어’, ‘Korean 104/108’ 같은 입력 소스는 선택해도 한글을 못씀.

커널 레벨로 우분투 키매핑 바꾸기 (일본어 키보드에서 한영키 사용)

xmodmap을 사용하면 적용 안되는 어플(크롬이라던가…)이 많아서 커널 레벨로 키매핑 변경을 하는 keyd를 사용해서 일본어 키보드에 한/영 키를 넣어보자.

keyd github https://github.com/rvaiya/keyd
참고한 링크
https://superuser.com/questions/1785052/swapping-keys-with-xmodmap-doesnt-work-in-all-applications

우분투 24.04 데스트탑을 설치하면 git, make, gcc가 없어서 같이 설치했다.

keyd 설치

키 이름 확인 방법 키를 누를때 표시된다.

키 매핑 파일을 작성

아래 내용을 붙여 넣는다. 필요 없는 부분은 #으로 주석처리할것.
내가 사용하는 매핑 설정은 일본어 키보드에 스페이스바 오른쪽에 변환 키를 한/영 전환키로 바꾸는 것과
PrtScr키(keyd에서는 sysrq로 인식됨)를 Home키로, Insert키를 End키로 서로 바꾸는 것이다.

파일 저장 후 리로드하면 적용 된다.

내 키보드에 있는 키들을 바꿀 떄는 monitor로 확인하면 되지만 없는 키로 바꾸고 싶을 경우에는 리스트에서 골라보면 된다.
한/영 키를 찾을때 아래 커맨드를 입력해서 찾았다.

윈도우에서는 아래 어플로 변경하면 간단.
윈도우10 노트북 일본어 키보드에서 Sharp Keys로 한영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