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게임

인터넷 연결 공유가 안되는 문제. IP 주소 192.168.137.1가 이미 사용중

관련글 – IP 차단 뚫고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 하는 3가지 방법

Softether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결된 VPN Client 어댑터의 연결을 윈도우 인터넷 공유로 다른 컴퓨터로 접속을 공유하려고 하는데 잘 안됐다.
상대 컴퓨터에서 인터넷 없음이 계속 뜨는 상태.

VPN Client 어댑터의 접속을 공유하는 유선랜 어댑터의 ipv4 상태를 보면 ip가 할당 되어 있지 않았다. 인터넷 공유할때 다이얼로그 창에서 설명하듯이 여기에는 본래 ip주소가 192.168.137.1로 설정 되어있어야 한다.
수동으로 192.168.137.1 주소를 넣어주자, 이미 다른 어댑터(Microsoft wi-fi direct virtual adapter)에 할당된 IP라고 나온다.
와이파이 핫스팟 공유시에 사용하는 어댑터 같은데 여기서 몇번 오류가 나서 ip를 사용중인 상태로 정지 되어있는듯하다.

해결방법

윈도우 버튼 오른쪽 클릭 –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 Microsoft wi-fi direct virtual adapter를 삭제한다.
Microsoft wi-fi direct virtual adapter일수도 있고 Microsoft wi-fi direct virtual adapter #2 처럼 숫자가 붙은 것일 수 있으니 이미 할당된 ip가 어느 장치인지 수동으로 넣었을때 나오는 에러 메시지 팝업에서 확인하면 된다.

삭제하고 나서 인터넷 공유 설정을 다시 하면 아래처럼 IP 주소가 192.168.137.1로 제대로 설정 된다.

공유 설정한 이더넷 어댑터의 ipv4 상태
IP 주소가 192.168.137.1이 되어야한다. 문제가 있을때는 공란 상태.

VPN 이용해서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 하는 방법

마비노기 모바일 스크린샷

요즘 마비노기 모바일이 인기인데 해외에서는 IP차단으로 접속이 안된다.
VPN 연결로 마비노기에 접속하는 3가지 방법을 공유한다.

글을 새로 작성했으니 아래 글을 참조할 것.
PC에서 접속하는 방법 – [PC]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버츄얼 박스 feat. 미꾸라지
상세한 설명과 스샷 버전 – 버츄얼 박스에 OpenWrt with 미꾸라지 설치
버츄얼 박스 대신 Hyper-V 사용하기 – [모비노기] 버츄얼 박스 대신 hyper-v 경유해서 접속하기
스마트폰에서 접속하는 방법 – 해외에서 스마트폰으로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방법 VPN 사용

방법 1: 노트북 (VPN 접속) -> 유선랜을 통한 인터넷 공유 -> 데스크탑

개요: 노트북에서 VPN에 접속한 후, 윈도우의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을 이용하여 유선랜(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데스크탑에 VPN 연결을 공유함. 현재까지 연결이 가장 안정적이었음.

준비물: 노트북 (무선랜, 유선랜 둘 다 있을것)
유선랜 케이블

설정 방법:
노트북 VPN 접속: 노트북에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원하는 VPN 서버에 접속함.
한국 집에서 열어둔 공유기 VPN도 좋고, 친구가 열어준 wireguard 서버도 좋고, 다 없으면 softether vpn gate 사이트에서 적당한 한국 VPN 서버에 접속할 것.
Softether VPN Gate 플러그인 포함 버전 다운로드 – https://www.vpngate.net/ja/download.aspx

노트북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노트북에서 Windows 키 + R → ncpa.cpl 입력 후 실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창을 염.
VPN 연결이 된 네트워크 어댑터 (Softether VPN Client의 “VPN Client”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
공유 탭으로 가서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에 체크함.
“홈 네트워크 연결” 드롭다운 메뉴에서 **노트북의 유선랜 어댑터 (이더넷)**를 고름.
경고 메시지가 나오면 확인을 누름.

노트북이랑 데스크탑을 유선랜으로 연결: 유선랜 케이블로 노트북이랑 데스크탑을 연결함.

데스크탑에서 IP 주소 수동 설정 (아마 해야 될듯): 데스크탑에서 자동으로 IP 주소를 못 받으면, 수동으로 IP 주소를 설정해야 됨.
데스크탑에서 Windows 키 + R → ncpa.cpl 입력 후 실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창을 염.
데스크탑의 유선랜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누름.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를 더블 클릭함.
다음 IP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이렇게 입력함.
IP 주소: 192.168.137.x (192.168.137.1을 제외한 다른 IP로 – 예: 192.168.137.5)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192.168.137.1
기본 설정 DNS 서버: 1.1.1.1 아니면 8.8.8.8 같은 걸로 넣어줌.
확인을 눌러서 저장함.

데스크탑에서 마비노기 모바일 실행.

안될 경우에 아래 게시글을 참조해서 인터넷 공유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
인터넷 연결 공유가 안되는 문제. IP 주소 192.168.137.1가 이미 사용중

방법 2: 스마트폰 (VPN 접속) -> USB/WiFi 테더링 -> 데스크탑

개요: 스마트폰에서 VPN에 접속한 다음, 스마트폰의 테더링 기능을 써서 USB 케이블이나 WiFi 핫스팟을 통해 데스크탑에 VPN 연결을 공유함. 이것도 비교적 안정적이고 노트북은 없어도 스마트폰은 다 있죠?

준비물: 스마트폰
USB 케이블

설정 방법:
노트북 VPN 접속: 노트북에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원하는 VPN 서버에 접속함.
한국 집에서 열어둔 공유기 VPN도 좋고, 친구가 열어준 wireguard 서버도 좋고, 다 없으면 softether vpn gate 사이트에서 적당한 한국 VPN 서버에 접속할 것.
Softether VPN Gate 플러그인 포함 버전 다운로드 – https://www.vpngate.net/ja/download.aspx

PDANet 설치 및 설정:
스마트폰에 PDANet 앱을 설치
데스크탑에 PDANet 프로그램을 설치
다운로드 – https://pdanet.co/install/

스마트폰 PDANet 앱을 켜고 “USB Tether” 아니면 “WiFi Direct Share” (WiFi 테더링)를 켜고,
데스크탑에서 PDANe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켜고 스마트폰이랑 연결함. (USB 연결은 케이블 꽂으면 되고, WiFi Direct는 화면 안내 따라함.)
이때 스마트폰에 원래 있는 USB 테더링은 꼭 끌것. 이걸로 잡혀서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있음.

데스크탑에서 마비노기 모바일 실행.

방법 3: 노트북(VPN 접속) -> WiFi핫스팟 -> 스마트폰

개요: 노트북에서 VPN에 접속한 다음에, 노트북의 WiFi 핫스팟 기능을 써서 스마트폰에 VPN 연결을 공유함.

준비물: 노트북 (무선랜, 유선랜 둘 다 있을것)

설정 방법:
노트북 인터넷 연결: 노트북을 유선랜으로 인터넷에 연결함.
노트북 VPN 접속: 노트북에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원하는 VPN 서버에 접속함.
한국 집에서 열어둔 공유기 VPN도 좋고, 친구가 열어준 wireguard 서버도 좋고, 다 없으면 softether vpn gate 사이트에서 적당한 한국 VPN 서버에 접속할 것.
Softether VPN Gate 플러그인 포함 버전 다운로드 – https://www.vpngate.net/ja/download.aspx

Windows 기본 모바일 핫스팟은 VPN 연결 공유가 제대로 안 될 때가 많으니 MyPublicWiFi를 사용해서 모바일 핫스팟을 열어줄 것이다.
MyPublicWiFi 설치 및 설정:
노트북에 MyPublicWiFi 프로그램을 설치
다운로드 – https://mypublicwifi.com/publicwifi/en/index.html
MyPublicWiFi를 켜고 아래와 같이 설정
WLAN Hotspot에서 Router Mode (NAT) 선택, VPN 어댑터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VPN 연결된 어댑터 (“VPN – VPN Client” 같은 것임.)를 선택.
**네트워크 이름 (SSID)**이랑 **암호 (Network Key)**를 적당히 넣음.
핫스팟 시작 버튼을 누름.

스마트폰 WiFi 연결: 스마트폰 WiFi를 켜고 노트북에서 만든 WiFi 핫스팟에 연결함.
스마트폰에서 마비노기 모바일 실행.

이렇게 3가지 방법으로 VPN 연결을 공유해서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도 마비노기 모바일을 즐길 수 있다.
자기한테 맞는 방법으로 잘 설정해 보고, 모르겠으면 댓글로 물어보세요.

우분투에서 마인크래프트 서비스로 등록해서 백그라운드 실행하기

이전 내용에서 이어서
우분투 서버 24.04 LTS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바닐라 서버 설치(오라클 클라우드)

서비스 파일 작성

아래 내용으로 서비스로 등록할 파일을 작성한다.

파일 내용

서비스 등록하기

잘 돌아가나 확인

서버 재기동시 자동으로 시작하기

우분투 서버 24.04 LTS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바닐라 서버 설치(오라클 클라우드)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우분투 서버에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설치 해 봤다.
혼자 쓰기에는 별 문제 없이 돌아가는듯. 메모리도 초반부에는 그렇게 안먹는 것 같은데 아무래도 무료 제공 서버는 1G램이라 오래 쓰기에는 무리가 있을듯하다.
서버 설치 연습용? 뭐 호기심으로 한번 해 보는 정도인듯.
오라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24G램을 쓸 수 있는데 ARM 서버라면 제대로 된 마크 서버도 운영 가능할듯.

서버 프로그램

바닐라 서버 말고도 이런저런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맛보기로 설치할거니 바닐라로. 베드락 에디션을 선택한 이유는 콘솔에서도 접속가능한 서버이기 때문에.
https://www.minecraft.net/ko-kr/download/server/bedrock
위 링크에서 아래 그림처럼 우분투용으로 다운로드 한다.
Ubuntu(Linux)용 Minecraft Dedicated Server 소프트웨어

/home/username/mine 처럼 적당히 디렉토리 하나 만들어서 다운로드한 zip 파일을 업로드 한다.
그리고 압축풀기

기동 커맨드

서버 설정은 따로 특별히 설정할건 없고, 다운로드 페이지에 있던 커맨드로 실행하면 된다.

정상적인 실행 로그

방화벽 열기

여기서부터가 문제인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오라클 클라우드 서큐리티 리스트에서 19132번 포트를 열어주고, iptables에서도 똑같은 포트를 열어준다.
먼저 서큐리티 리스트 설정. 위치는 오라클 클라우드 UI가 자주 바뀌어서 어디로 갈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왼쪽 위 메뉴에서 네트워킹->Virtual Cloud Networks->vcn 리스트에서 서버에 설정 되어있는걸로 클릭->탭에 있는 서브넷->서브넷에서 서버에 설정된 서브넷 선택->Security 탭->Default Security List for vcnxxx->Security rules 탭으로 들어가면 된다.
아래와 같이 TCP, UDP 둘 다 열어준다. TCP만 열면 된다는 얘기도 있던데 TCP 만으로는 접속 안되더라.
Add Ingress Rules - 19132 port tcp and udp

서버에 들어가서 iptables 설정에서도 19132번 포트는 TCP, UDP 다 열어준다.

적당한 곳에 아래 두줄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적용하고 확인

따로 적용이 필요하진 않고 위대로만 하면 바로 방화벽은 열린다.

마인크래프트에서 접속해 보자.
서버 IP 는 퍼블릭 IP, 포트는 19132이다.

마인크래프트 월드
접속 성공!

오즈 리라이트 오베? 개통 테스트 정보. 한글은 없다. OZ Re:write

오즈 리라이트 타이틀 화면

오즈 리라이트. 다른 게임하다가 광고에 나와서 프리인스톨 넣어뒀었는데 어제 인스톨 되어서 오늘 좀 해 봄.

한국 하이브 산하 하이브IM이라는 게임 퍼블리싱 회사에서 출시하고 개발은 마코빌이라는 회사임.
일단 한국 회사인데 일본에서만 런칭했고, 게임 안에 한글도 없음. 언어 선택 메뉴는 있는데 일본어뿐.

오픈 베타? 특전

지금은 개통 테스트 기간(3/5 11:00~3/12 23:59)인데 개통 테스트가 끝나면 모두 초기화 된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영웅 뽑기가 아주 후한데, 뽑기로 뽑는 캐릭터에서는 랭크가 별 3개가 최고인데 3% 확률이지만, 나는 벌써 6개 뽑음.
그리고 별 2개에서 3개로 업그레이드도 가능해서 캐릭터는 모으기는 그렇게 어려울거 같지 않은 인상.

게임 내용은 다른 게임들 어디선가에서 다 가져온 내용이고 딱히 유니크한 게임 내용은 없다.
일러스트가 예뻐서 일단 해 볼 예정.

장점
일러스트가 예쁨
게임이 단순함
낮은 등급 캐릭터도 비교적 쉽게 업그레이드 해서 사용 가능
고퀄리티 2D 전투 화면

단점
게임이 단순함
캐릭터마다 다르지만 2D 애니메이션이 약간 애매한 것들이 있음

오즈 리라이트 전투 화면
전투 종료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