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에 OpenWrt 설치 후에 미꾸리지 VPN을 이용해 마비노기 모바일에 접속 되었고 문제 없이 플레이 가능한걸 확인해서 정보를 공유한다.
OpenWrt란: 공유기 제조사가 설치한OS가 아닌 커스텀 펌웨어로 설치하는 OS. 유저 입장에서는 공유기 설정 화면이 바뀜.
공유기 설정 화면이 이런 화면이 된다.
- 공유기 : ELECOM WRC-1167GST2 야후프리마에서 쿠폰 적용해서 750엔에 구입
- 설치 OpenWrt 버전 : 23.05.5 미꾸라지가 지원하는 OpenWrt 버전 중에서 현재 기준 최신
- 설치 OpenWrt 파일명 : openwrt-23.05.5-ramips-mt7621-elecom_wrc-1167gst2-squashfs-factory.bin
- 미꾸라지 설치 파일명 : mudfish-pi_2.6.9-1_mipsel_24kc.ipk, luci-app-mudfish-pi_git-24.225.74088-5035535_all.ipk
공유기에 OpenWrt 설치는 기존 엘레콤 공유기 설정 화면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OpenWrt 파일 지정해주면 끝.
그 다음부터는 OpenWrt 에서 설정인데 지식이 없으면 쉽지 않다.
나는 집 무선 공유기에서 와이파이로 OpenWrt 공유기로 연결하고 유선으로 다시 데스크탑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했다.
인터넷 – 광 모뎀 – 집 공유기 – (무선) – OpenWrt 공유기 – (유선) – 데스크탑PC
OpenWrt 공유기에 Luci – 네트워크 – 무선으로 가서 집 공유기에서 뿌려주는 와이파이를 잡는다. 소프트웨어 설치를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됨.
미꾸라지 설치는 미꾸라지에서 미리 파일을 받아두고 Luci – 시스템 – 소프트웨어에서 파일 업로드로 설치.
미꾸라지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소프트웨어에서 설치했다.
미꾸라지 설치에는 두개의 파일이 필요한데 mudfish-pi_2.6.9-1_mipsel_24kc.ipk 와 luci-app-mudfish-pi_git-24.225.74088-5035535_all.ipk 이다.
나는 Luci용 파일 하나만 설치하고 왜 안되나 헤맸는데 두개이니 두개 다 잘 설치하길 바란다.
설치에 딱히 문제도 없고 무선 랜 잡는데서 좀 헤매고… 뭐 여러군데 조금씩 헤매기는 했는데 두어시간만에 전부 설정 완료 했다.
버츄얼 박스를 쓸 때는 네트워크 지연이 가끔 떴고, 그 외에도 뭔가 느린 느낌이 있었는데 다 사라졌다. (게임 더 해보고 뭔가 다르면 업데이트 하겠다.)
업데이트 : 네트워크 지연이 훨씬 적게 뜨기는 하는데 아예 안뜨지는 않는다. 그래도 버츄얼 박스보다는 훨씬 안정적인것 같다.
세계 여러나라에서 이 블로그 글을 참고해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각자 사는 나라에 OpenWrt 지원하는 공유기가 있는지 찾아보고 구해서 해 보시길 추천한다.
일본이라면 내가 산 ELECOM WRC-1167GST2 가 추천이다. 야후프리마나 메루카리에서 1500엔 전후로 많이 팔고 있다.
이것 말고도 OpenWrt 설치가 간편한 공유기들도 있는데 너무 많아서 여기 쓰기에는 어렵고 OpenWrt 공유기로 검색해 보면 정보는 꽤 나와있다.
싸게는 500엔부터 시작이니 시간 날때 한번 셋팅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