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오류 가이드

원래 썼던 글이 가독성이 너무 안좋아서 AI 제미니한테 부탁해서 좀 고쳐봤다.
내 경험을 사족으로 판단해서 많이 짤라버리는데 전달하고 싶은 내용 자체는 더 잘 정리되는 듯. ㅋ

시작하며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접속하려니 여러 문제에 부딪혔다. 넥슨이 오래된 회사인 만큼 보안 체계도 복잡하게 구축된 느낌이다. 해외 접속 시도는 당연히 문제가 따르겠지만, 보안이 과도한 탓인지 한국 내 사용자 중에서도 IP가 차단되거나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때문에 접속이 안 된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내가 열흘 넘게 직접 테스트하며 겪은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오류와 각종 메시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PC와 모바일 환경 모두를 다루며 넥슨의 공식 발표가 아닌 순전히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에 기반한 정보이므로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주요 접속 오류 및 메시지 유형

마비노기 모바일 접속 시 마주칠 수 있는 대표적인 오류 메시지와 그 원인과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 “해외 IP” 메시지 – 차단된 국가에서 접속하였습니다. 해당 국가는 서비스 준비중입니다.
    • 원인: 해외 IP 주소로 게임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한다.
    • 해결: VPN을 사용하여 한국 IP 주소로 변경해야 한다.
  • “차단된 IP” 메시지 – 현재 IP 주소에서는 게임 실행이 제한되어 있습니다.(1204)
    • 원인:
      • VPN으로 한국 IP를 사용했지만, 해당 IP가 클라우드 서버(AWS, Oracle Cloud 등) IP일 경우. IP 자체보다 ISP 이름으로 판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사용한 VPN 서비스의 IP가 과거 넥슨 게임에서 제재 이력이 있는 경우. (넥슨이 모든 VPN IP를 차단하는 것 같지는 않다. 미꾸라지VPN 등 작동하는 서비스도 존재한다.)
    • 해결: 다른 VPN 서버 또는 다른 VPN 서비스를 이용해 IP를 변경해야 한다.
  • “에러 88” (PC 환경) – 운영 정책에 의해 게임을 종료합니다. (ERROR 88)
    • 원인: PC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넥슨이 허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감지된 경우 발생한다. (예: 미꾸라지VPN 클라이언트, Softether 클라이언트, 기타 VPN 프로그램 등)
    • 특징: 게임 접속 후 약 3분 뒤에 오류 메시지가 뜨며 게임이 강제 종료된다.
    • 해결:
      • Ctrl+Shift+Esc로 작업 관리자를 열어 의심스러운 프로세스를 찾아 종료시킨다.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가 원인일 수 있으니, 해당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윈도우 시작 시 자동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미꾸라지, Softether 등 많은 VPN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 서비스를 설치한다.)
      • 설치된 것만으로는 문제없으나, 실행 중이면 안 된다.
      • 원인을 찾기 어렵다면, 가상 머신(VirtualBox 등)이나 포맷 후 윈도우 재설치 환경에서 마비노기만 설치하여 테스트해 볼 수 있다.
  •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사용” (안드로이드) – Illegal program has been detected!(120/0)
    • 원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VPN 앱을 사용하여 접속한 경우 발생한다. 안드로이드 OS 자체에서 VPN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데, 마비노기 앱이 이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 해결: 스마트폰 자체의 VPN 앱 사용 대신, 아래 ‘권장 해결책’ 항목에서 설명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주의! IP 변경 및 L.-9 오류

게임 이용 중 IP 주소가 변경되는 상황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 위험 상황:
    • 게임 플레이 도중 IP 변경
    • 로그인 과정 중 IP 변경
    • 로그인 완료 후 IP 변경
  • 결과: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L.-9 오류(메시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세요. (ERROR L.-9))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오류는 클라이언트 밴(Client Ban)으로 추정되며, 발생 시 어떤 방법을 써도 해당 오류만 계속 나타난다.
    • L.-9 오류 발생 위치: 마비노기 게임 시작 시 ‘모닥불 숲’ 화면
    • 해결: 마비노기 앱/클라이언트 완전 삭제 후 재설치 외에는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재설치 시 다운로드 속도가 매우 느렸다.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에러이다.)
  • 예방: 안정적인 VPN 연결 유지가 중요하다. Softether와 같이 서버 불안정 시 연결이 끊기며 원래 IP로 돌아갈 수 있는 방식보다는, 안정성이 확보된 유료 VPN이나 직접 구축한 VPN(가족/지인 집 등) 사용을 권장한다. (나는 이 때문에 미꾸라지VPN을 사용 중이다.)

문제 없는 경우 (테스트 결과)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 게임 다운로드 중 VPN 연결 끊김: VPN으로 한국 IP를 잡아 게임 다운로드를 시작한 후, 다운로드 도중에 VPN 연결이 끊겨도 괜찮았다. 다운로드 완료 후 다시 VPN을 켜고 게임을 실행하면 된다. (PC/모바일 모두 확인했다.)
  • 스마트폰 SIM 카드: SIM 카드 유무는 접속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SIM 뺀 적이 없다. ESIM은 모르겠고, 일본 이외 다른 국가도 모르겠다.
  • GPS 위치 정보: 마비노기 모바일 앱이 GPS 권한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GPS 위치는 문제되지 않는다.

권장 해결책 및 마무리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안정적으로 즐기기 위한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IP 확보: 반드시 VPN 등을 통해 한국 IP 주소로 접속해야 한다.
  2. 게임 실행 기기 내 VPN 프로그램 금지: 마비노기를 실행하는 PC나 스마트폰에는 VP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앱이 직접 실행되고 있지 않아야 한다. (에러 88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오류 방지 목적)
  3. 권장 접속 방식:

이 방법들을 통해 넥슨의 보안 감지를 우회하고 안정적으로 해외에서 마비노기 모바일을 즐기길 바란다.

12 thoughts on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오류 가이드”

  1. 올려주신글들 잘 봤습니다.
    저도 3월 27일 오픈한 날부터 이래저래 고생하며 접속방법을 찾아보고 있슴다. 알려주신 가상머신을 사용한 접속방법도 테스트 해보니 잘 작동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알려주신 내용에다가 추가적으로 몇가지 더해서 테스트 해본 결과, 좋은것들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1. 미꾸라지에서는 ‘아이템’ 이라는게 존재를 합니다. 이름이 왜 아이템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를 이용하면 특정 게임, 혹은 사이트로 접근하는 네트워크만 vpn에 실어서 보낼 수 있습니다.
    아이템 구매 항목에 가시면 이미 마비노기 모바일이 존재하고있으며, 모비노기 홈페이지에 접속을 위해서는
    아이템관리 -> + 버튼 -> 커스텀 아이템 생성 -> 카테고리 = 사이트 -> 라우팅 경로에
    mabinogimobile.nexon.com
    http://www.nexon.com
    를 입력 후 저장하면 잘 작동됩니다. 모비노기와 넥슨의 주소가 둘 다 들어가는 이유는, 이놈들이 로그인 세션은 nexon.com에서 관리를 하는지, 모비노기만 등록하면 로그인이 유지가 안되더라구요.
    이렇게 설정하면 full vpn을 사용하지 않고, 마비노기를 사용할때만 vpn트래픽을 사용하게 되어서 미꾸라지 트래픽 사용량을 아낄 수 있습니다.

    2. 이건 걱정이긴 합니다만… 결국 PC에서 VPN프로그램을 사용했을때 막히는 이유는 넥슨시큐리티 보안 프로그램에서 백그라운드 검사를 진행하고, VPN 혹은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중이라면 Error88 을 뱉는것 같습니다.
    이전에 pdanet+을 사용해서 접속했던 적이 있는데요, 해당앱에서 핫스팟을 사용한 wifi 연결을 사용할때는 pc에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기때문에 정상적으로 접속이 됐었습니다. 그래서 무선보다는 유선이 낫겟지 하는 생각으로 usb테더링으로 방식을 전환 해보았는데요. 이경우 pc에 pdanet+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합니다. 처음에는 잘 실행 하고 있었으나, 어느날 갑자기 error 88을 뱉으며 쫒겨난것으로 보아, 실시간으로 블랙리스트 서비스를 등록하는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듭니다.
    그렇다면 이놈들이 가상머신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다면 차단해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1. 미꾸라지 아이템 추가 됐나보네요. 제가 처음 시작할때는 없더라고요. 팁 감사합니다.

        버츄얼 박스, vmware, hyper-v 다 막는다면 공유기를 하나씩 장만하거나 2컴으로 가야죠. ㅎㅎ
        요즘 vpn 클라이언트 기능 있는 공유기가 그렇게 비싸지 않더라고요. 집 네트워크 속도도 올릴겸해서 하나 사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저는 다음 스텝으로 openwrt 설치할 중고 공유기를 750엔에 하나 사서 기다리도 있어요. 여기에 openwrt 올리고 미꾸라지 설치해서 접속 할겁니다.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1. 흑흑… 일본사시는군요… 전 미국이라 구하지도 못합니다…하…
          뭔놈의 해외차단을 이렇게 빡시게 해놔서 힘들게하는지

          저는 그래서 임시방편으로다가 갤럭시 탭 하나 루팅해서… vpn 네트워크 공유 하고 있었습니다. 모바일 기기에서 vpn 네트워크가 공유 안되는게 os단에서 막아둔거라 루팅하면 풀리더라고요. 어찌됐든 pc에서 vpn 네트워크인지 알 방법은 없으니까요.
          이 외에도 또 다른 방법 찾으면 공유 드리겠습니다.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1. 저도 남는 갤럭시9이 있어서 루팅하려고 했는데요. 생각하는게 똑같네요. ㅋㅋ
            아무래도 루팅 과정이 시간이 걸릴것 같아서 먼저 버츄얼 박스에 우분투 깔아서 해 보려다보니 이렇게 흘러갔네요.

        2. 에러88을 뱉게되는 타이밍이 그래서 실시간 감시처럼도 보이지만, 저는 실시간으로 처리되는건 아닌거 같아요.
          처음에 뜨는 에러 88은 시간이 좀 걸리더라고요. 이유는 모르겠는데 그렇습니다 경험상.
          자동으로 차단리스트에 추가 되는건 아닐것 같으니 가상 머신 차단은 아마 안하지 않을까 싶어요. 하면 어쩔 수 없지만.
          일단 즐기시죠. 저는 오늘 G1 클리어 했는데 재미있네요.

    1. 3. 라우트 설정의 경우
      이건 개인적인 경험이라 다른분들은 발생하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라우트를 고정했는데도 윈도우에서 해당 라우트를 덮어 씌우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가상머신을 통한 연결이기 때문에 windows에서는 로컬 네트워크를 사용한 통신이고, 인터넷에 연결 되었는지 판단 하지 못해서 그런것 같은데, 이때문에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재시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 때마다 고정해둔 라우트가 초기화 되는 것 같구요.

      그래서 일단은 라우트 고정 명령어를 ps1파일로 만들어서 네트워크 연결 이벤트가 감지 되었을때 실행하도록 작업스케쥴러에 등록해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근본적인 해결책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약 12시간 마비노기를 실행중이고 이 동안 라우트 초기화는 약 30회정도 발생하였으며, 접속이 끊기지 않고 있는것으로 보아 임시 방편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1. 저는 라우트 초기화 현상은 없었어요.
        버츄얼 박스로 가는 아이피 등록 할때 route 명령에 -p 옵션으로 영구적으로 적용 시키면 어떨까요?

        1. 고것도 같은 문제가 발생했었어요. 아무래도 제가 있는 곳 네트워크가 학교 네트워크라 발생하는 문제 같네요

  2. 라우트 초기화는 service.msc에서 dhcp설정을 꺼두면 됩니다 저도 이렇게 3-4시간 안튕기고 계속하고있어용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