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mitash의 모든 글

일본에서 일하고 있는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Codenvy Eclipse Che에서 Node.js Express Sample 프로젝트 실행하기

Node.js 워크스페이스 작성

Codenvy 접속
왼쪽 사이드 메뉴 Create Workspace
탭 Runtime – Ready-to-go Stacks(선택 되어 있음)
NODE 선택
최하단 SAVE 버튼을 눌러서 워크스페이스 작성

Express 프로젝트 작성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작성한 워크스페이스 선택해서 기동
Alt + X 키로 프로젝트 작성
SAMPLES 하단에 express 선택후 프로젝트 이름(ProjectName)을 입력하고 Create 버튼 누름
Express 프로젝트 디렉토리는 작성 되는데 Express 디렉토리 구조등은 없다.
상단 명령 중 ExpressTest: 1. Create and run project 실행해도 에러가 난다.

해결방법

먼저 Express 설치
하단 Terminal 에서 커맨드 입력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express 구조를 생성해 주는 커맨드 입력

의존관계 설치 커맨드 입력

프로젝트 디렉토리 루트에 있는 package.json 에 기재 되어있는 의존관계에 있는 팩키지들을 설치해 준다.

실행

화면 상단 CMD 리스트박스에서 Edit Commands… 선택
CUSTOM 옆에 + 버튼을 클릭해서 새 명령 추가
이름은 적당히 넣고 Command line 에 아래 명령을 입력

ProjectName에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명을 넣는다.
Preview URL 에 입력

샘플 프로젝트에서는 서버 포트를 3000번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3000을 입력한다. 만약 포트 번호를 바꿀 때에는 여기 포트 번호도 바꿀것.
하단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 후, 저장한 명령을 실행한다.
하단에 실행 결과가 나오는데 Preview 에 URL 을 클릭하면 서버에 접속 된다.(안열릴시에는 브라우저에서 F5 로 새로고침)

터미널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Ctrl + Insert : 복사
Shift + Insert : 붙여넣기
Shift + Delete : 잘라내기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USB 무선랜 어댑터의 인터넷 접속 끊김 문제 해결 방법 2/2

이전 포스팅에서 해결된줄 알았는데 이틀 정도 후에 또 인터넷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일어났다.

Realtek 8812AU의 최신 드라이버를 찾아서 설치해 보니 현재 5일째 끊기지 않아서 이걸로 해결이 된 것 같으니 포스팅 해 본다.

드라이버 다운로드/설치 방법
※일본 윈도우를 사용 중이라 한글 윈도우에서는 이름이 좀 다를거 같으니 비슷한걸로 잘 선택해 주세요.
1. http://www.station-drivers.com/index.php?option=com_remository&Itemid=352&func=fileinfo&id=2478&lang=en 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
2.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둔다. (확장자가 exe 인데 7z 으로 바꾸면 보통 압축 프로그램으로도 압축 풀기 가능)
3. 장치 관리자에서 무선랜 어댑터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클릭. 속성을 선택. 드라이버 탭으로 이동.
4. 드라이버 갱신 버튼을 클릭.
5. [컴퓨터의 드라이버를 사용]을 선택
6. [컴퓨터상의 장치 드라이버 일람에서 선택합니다]를 선택
7. 디스크 사용 버튼을 클릭. 압축을 풀어둔 폴더의 .inf 확장자의 파일이 하나 있는데 그걸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른다.
8. [호환성 있는 하드웨어만 표시]에 체크를 해제.
9. 아래에 리스트에서 Realtek Semiconductor Corp. 를 선택하고 왼쪽에서 Realtek 8812AU Wireless LAN 802.11ac USB NIC 을 선택하고 OK 버튼.
10. 드라이버 호환성 경고창이 뜨는데 OK 버튼을 눌러서 진행하면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위 station-drivers.com 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 안에는 TP-Link 의 드라이버도 들어있는데 설치해 봤지만, 역시 끊김 현상이 일어났다.
위에 순서대로 해서 Realtek 8812AU 무선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나서는 이제까지 5일간 한번도 끊기지 않았다. TP-Link 의 드라이버가 거지 같은듯.

참고로 한국/일본에서 RTL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무선랜 어댑터 목록.

  • BUFFALO WI-U3-866D
  • ELECOM WDC-86SU3SBK
  • Aukey WF-R13
  • TP-Link Archer T4UH
  • TP-Link Archer T4U
  • NEC Aterm WL900U
  • ASUS USB-AC56
  • Planex GW-900D
  • IODATA WN-AC867U
  • ipTIME A2000U
  • ipTIME A2000UA
  • ipTIME A2000UA-4dBi
  • Netis WF2190
  • 이지넷유비쿼터스 NEXT-1200AC
  • D-Link DWA-182 rev C1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USB 무선랜 어댑터의 인터넷 접속 끊김 문제 해결 방법 1/2

USB 무선랜 어댑터 TP-LINK의 T4UH를 샀다.

며칠 잘 쓰고 있었는데 인터넷이 자꾸 끊긴다. 네트워크에 접속은 되어 있는데 인터넷 접속 없음이라고 계속 뜨거나 혹은 무선랜 어댑터가 접속 안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서버 컴퓨터의 무선랜 연결을 브릿지해서 데스크탑으로 인터넷을 공유해서 쓰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그 탓인줄 알고 윈도우 네트워크 브릿지 접속에 문제를 계속 검색해서 이것저것 해 봤는데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미국 아마존 고객 리뷰에서 TP-LINK의 드라이버를 쓰지 말고 칩셋인 Realtek 8812AU 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된다는 것을 보고 실행.
끊기는 빈도는 확실히 줄었는데 여전히 가끔은 끊기는 현상이 발생.

최종적으로는 무선랜 상세설정에 프로퍼티 설정에 있는 usb switch mode 를 usb mode 2 로 해서 USB 2.0 접속으로 고정하니까 끊기는 현상이 사라졌다.
이것저것 찾아 보는 와중에 Qos/WMM 설정을 끄라던가 하는 얘기가 있었는데 내 경우는 Qos 를 끄게 되면 무선 접속 속도가 70-100Mbps 정도로 떨어지고 체감적으로도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려져서 Qos/WMM 설정은 켜둔 채로 두었다.

일단 하루 정도는 끊기지 않는걸 확인하고 포스팅한다.
TP-LINK의 T4UH 뿐만 아니라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다른 USB 무선랜 어댑터에서도 이 방법이 도움이 될듯하다.

// 추가 //
이틀 후에 끊김… 해결 방법을 찾아서 다시 포스팅했다.
아래 링크를 참조.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USB 무선랜 어댑터의 인터넷 접속 끊김 문제 해결 방법 2/2

uTorrent has crashed. 에러 해결방법


광고 없는 qbit토렌트를 씁시다. uTorrent랑 비슷해요.
https://www.qbittorrent.org/

잘 쓰던 uTorrent 프로그램이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uTorrent has crashed.
uTorrent has crashed. A crash dump has been saved as…

최신 버전 재설치로 해결은 되는듯한데 광고가 없는 옛날 버전이 더 좋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 보기 위해서 구글링 해 봤다.
해결 방법은 윈도우의 hosts 파일에

이 내용을 써 주면 된다.

자세한 해결 방법

요즘 윈도우는 hosts 파일이 관리자 권한으로만 편집이 되기 때문에
시작버튼-어플리케이션-윈도우 액세서리-메모장 위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로 실행을 선택한다.
메모장이 실행되면 메모장 왼쪽 위에 파일-열기 메뉴를 선택해서 (여기서 파일 확장자를 모든 파일로 선택해야 hosts 파일이 보인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여기 있는 파일을 연 다음에 파일 제일 아래에 한줄 추가해서 (따옴표 없이)”127.0.0.1 cdn.ap.bittorrent.com”를 쓰고 저장해 주면 된다.

재기동 필요 없이 uTorrent 를 실행해 보면 잘 실행될 것이다.

uTorrent 3.4.3 버전에서 테스트.

우분투 14.04 LTS cron crontab 설정 및 로그파일 확인

DNSZi의 DNS 서버로 변경하고 서버의 IP를 DDNS로 자동 갱신하기 위해서 우분투에서 crontab 설정을 찾아봤더니 제대로 나온게 안보여서 포스팅해 본다.

현재 등록된 작업내용을 확인

새작업 추가하기

명령을 실행하면 사용할 에디터를 고르라고 나오던데 추천하는 nano를 선택.
등록할 작업을 파일에 써 넣고 저장하고 종료하면 된다.

‘sudo crontab -e’를 하면 root로써 작업을 등록할수도 있다. 하지만 DDNS 갱신명령 정도는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어서 그냥 유저 계정으로 등록했다.

등록한 작업이 실행되는지는 크론탭 로그 파일을 보면 되는데

이 명령으로 확인 가능하다. (tail을 파일 끝을 보는 명령 -F 옵션은 파일이 갱신되면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옵션)

우분투 14.04에서 크론 로그는 /var/log/cron 찾아봐야 없으니 /var/log/syslog 안에서 찾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