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해결된줄 알았는데 이틀 정도 후에 또 인터넷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일어났다.
Realtek 8812AU의 최신 드라이버를 찾아서 설치해 보니 현재 5일째 끊기지 않아서 이걸로 해결이 된 것 같으니 포스팅 해 본다.
드라이버 다운로드/설치 방법
※일본 윈도우를 사용 중이라 한글 윈도우에서는 이름이 좀 다를거 같으니 비슷한걸로 잘 선택해 주세요.
1. http://www.station-drivers.com/index.php?option=com_remository&Itemid=352&func=fileinfo&id=2478&lang=en 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
2.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둔다. (확장자가 exe 인데 7z 으로 바꾸면 보통 압축 프로그램으로도 압축 풀기 가능)
3. 장치 관리자에서 무선랜 어댑터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클릭. 속성을 선택. 드라이버 탭으로 이동.
4. 드라이버 갱신 버튼을 클릭.
5. [컴퓨터의 드라이버를 사용]을 선택
6. [컴퓨터상의 장치 드라이버 일람에서 선택합니다]를 선택
7. 디스크 사용 버튼을 클릭. 압축을 풀어둔 폴더의 .inf 확장자의 파일이 하나 있는데 그걸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른다.
8. [호환성 있는 하드웨어만 표시]에 체크를 해제.
9. 아래에 리스트에서 Realtek Semiconductor Corp. 를 선택하고 왼쪽에서 Realtek 8812AU Wireless LAN 802.11ac USB NIC 을 선택하고 OK 버튼.
10. 드라이버 호환성 경고창이 뜨는데 OK 버튼을 눌러서 진행하면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위 station-drivers.com 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 안에는 TP-Link 의 드라이버도 들어있는데 설치해 봤지만, 역시 끊김 현상이 일어났다.
위에 순서대로 해서 Realtek 8812AU 무선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나서는 이제까지 5일간 한번도 끊기지 않았다. TP-Link 의 드라이버가 거지 같은듯.
공유기의 VPN 설정은 그리 어렵지 않다. 공유기 관리화면은 보통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192.168.0.1 로 치면 들어갈 수 있다. 공유기 설명서를 보면 자세히 나와있을 것이다. 관리화면에서 VPN 서버설정화면을 찾아서 열자.
VPN 서버설정화면
위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VPN 접속 계정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정하고 할당 될 IP 주소는 192.168.0.200 정도면 무난하다. VPN 접속 계정을 추가하고 화면 오른쪽 상단에 저장 버튼을 누르자.
윈도우10 VPN 접속설정
윈도우키를 누르고 설정을 선택한다. 설정화면에서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선택하면 화면 왼쪽 메뉴에 VPN 이 나온다. VPN 을 선택하고 VPN 접속 추가 버튼을 누르자. VPN 프로바이더는 윈도우, 접속명은 적당히 우리집이라던지 넣으며 되고, 서버명 또는 어드레스에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나 ipTIME 에서 제공하는 DDNS 주소를 넣으면 된다. DDNS 주소를 설정해두면 공유기의 외부 IP 가 변경되어도 상관없이 DDNS 주소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DDNS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VPN의 종류는 PPTP 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계정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으면 완료. 저장하자.
윈도우 10 VPN 설정화면
만들어진 VPN 접속 설정을 클릭하면 접속 버튼이 나타난다. 접속 버튼을 누른다.
접속이 안된다. 설정이 더 필요하다.
VPN 설정 하단에 관련설정에서 [어댑터 옵션을 변경한다]를 클릭하면 네트워크 접속 창이 뜨고 방금 만든 VPN 접속이 있을 것이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가장 아래에 속성을 선택한다.
속성 창 서큐리티 탭에서 데이터의 암호화항목을 [암호화 생략 가능]에서 [암호화가 필요]로 바꾸고 확인을 누른다.
다시 설정의 VPN 화면으로 가서 접속 버튼을 누르면 접속이 잘 될 것이다.
VPN 으로 접속하게 되면 공유기가 할당 받은 외부 IP 로 인터넷을 사용하게 된다. 해외 IP 가 차단된 아이핀 로그인도 문제없이 되고, 해외에서는 볼수 없는 warning.or.kr 도 볼수 있게 된다.
오랜만에 보는 warning.or.kr
우리나라 이상으로 인터넷을 통제하고 있는 중국을 제외하곤 해외 어떤 나라에서도 한국 IP 가 필요할 때는 아이핀 로그인 뿐일듯하다.
윈도우 10 에서 루비 Ruby 와 Ruby on rails 를 설치한다. 개발 툴은 이클립스 Eclipse 를 사용하고, Aptana Studio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루비와 Ruby on rails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주의: 이 글에서 설명하는 것은 루비나 Ruby on rails 를 전부 최신 버전으로 설치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특정 버전으로 루비나 Ruby on rails 를 설치해야하는 경우에는 참고만 하기 바란다.
루비 설치
http://rubyinstaller.org/downloads/ 에서 윈도우용 루비 설치파일을 받아서 설치한다.
설치시에 루비 실행 파일 패스 추가하는 옵션에 꼭 체크하자. 안 그러면 수동으로 해 줘야 한다.
윈도우키 + X 키를 눌러서 나오는 메뉴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해서 프롬프트 화면 열고, 아래 명령으로 루비가 잘 설치되었는지(실행 파일 패스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1
ruby-v
루비 설치파일로 설치할 때 나오는 체크 옵션 중에 td/tk는 루비로 GUI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것이니 관심 있으면 체크해서 같이 설치하자.
Development Kit 설치
이걸 설치하지 않으면 Ruby on rails 설치 후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에러가 난다. 미리 설치하자. http://rubyinstaller.org/downloads/ 로 들어가면 하단 부에 있다. 루비 2.0 이상 버전 중에서 쓰고 있는 환경에 맞춰서 32비트나 64비트 설치 파일을 받으면 된다. 파일을 받은 후에 실행하면 압축 해제 다이어로그가 나오는데 루비를 설치한 폴더 아래에 devkit 폴더에 압축을 풀자. 설치 방법은 프롬프트 화면에서 devkit 폴더로 이동한 다음 아래 커맨드를 실행하면 된다.
1
2
ruby dk.rb init
ruby dk.rb install
설치는 순식간에 끝난다.
gem 업데이트
프롬프트 화면에서 gem 업데이트를 한다.
1
gem update--system
Ruby on rails 설치
1
gem install rails
설치는 6분 정도로 좀 오래 걸렸다.
이클립스 플러그인 Aptana Studio 설치
Aptana Studio는 웹 개발 툴인데 html, css, javascript, php, python 그리고 루비와 Ruby on rails 개발에 여러 가지 편리함을 주는 툴이다.
이미 이클립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플러그인 형식으로 이클립스에 설치하면 되고, 루비 개발에만 사용할 것이라면 Aptana Studio 자체를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면 된다. 이클립스랑 거의 같은 UI 이기 때문에 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클립스 플러그인으로 Aptana Studio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이클립스를 실행하고, 메뉴에서 Help -> Install New Software 를 선택한다.
팝업 화면에서 Add 버튼을 누르고 이름에 ‘Aptana Studio’ 를 넣고, 장소에 http://download.aptana.com/studio3/plugin/install 를 넣는다. 그다음부터는 적당히 Next Next 동의 체크하고 완료 정도로 플러그인을 설치하기 시작할 것이다.
설치가 끝나면 이클립스를 재기동 시키고, 프로젝트 익스플로러에서 오른쪽 클릭 -> 신규 -> Rails 프로젝트로 Ruby on rails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