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잘 쓰고 있었는데 인터넷이 자꾸 끊긴다. 네트워크에 접속은 되어 있는데 인터넷 접속 없음이라고 계속 뜨거나 혹은 무선랜 어댑터가 접속 안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서버 컴퓨터의 무선랜 연결을 브릿지해서 데스크탑으로 인터넷을 공유해서 쓰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그 탓인줄 알고 윈도우 네트워크 브릿지 접속에 문제를 계속 검색해서 이것저것 해 봤는데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미국 아마존 고객 리뷰에서 TP-LINK의 드라이버를 쓰지 말고 칩셋인 Realtek 8812AU 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된다는 것을 보고 실행.
끊기는 빈도는 확실히 줄었는데 여전히 가끔은 끊기는 현상이 발생.
최종적으로는 무선랜 상세설정에 프로퍼티 설정에 있는 usb switch mode 를 usb mode 2 로 해서 USB 2.0 접속으로 고정하니까 끊기는 현상이 사라졌다.
이것저것 찾아 보는 와중에 Qos/WMM 설정을 끄라던가 하는 얘기가 있었는데 내 경우는 Qos 를 끄게 되면 무선 접속 속도가 70-100Mbps 정도로 떨어지고 체감적으로도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려져서 Qos/WMM 설정은 켜둔 채로 두었다.
일단 하루 정도는 끊기지 않는걸 확인하고 포스팅한다.
TP-LINK의 T4UH 뿐만 아니라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다른 USB 무선랜 어댑터에서도 이 방법이 도움이 될듯하다.
잘 쓰던 uTorrent 프로그램이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uTorrent has crashed. A crash dump has been saved as…
최신 버전 재설치로 해결은 되는듯한데 광고가 없는 옛날 버전이 더 좋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 보기 위해서 구글링 해 봤다.
해결 방법은 윈도우의 hosts 파일에
1
127.0.0.1cdn.ap.bittorrent.com
이 내용을 써 주면 된다.
자세한 해결 방법
요즘 윈도우는 hosts 파일이 관리자 권한으로만 편집이 되기 때문에
시작버튼-어플리케이션-윈도우 액세서리-메모장 위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로 실행을 선택한다.
메모장이 실행되면 메모장 왼쪽 위에 파일-열기 메뉴를 선택해서 (여기서 파일 확장자를 모든 파일로 선택해야 hosts 파일이 보인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여기 있는 파일을 연 다음에 파일 제일 아래에 한줄 추가해서 (따옴표 없이)”127.0.0.1 cdn.ap.bittorrent.com”를 쓰고 저장해 주면 된다.
우분투 서버 14.04 LTS 아파치 apache2 설치 후 기동시에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될 때 해결 방법.
1
AH00558:apache2:Could not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1.1. Set the 'ServerName'directive globally tosuppress thismessage
이 메시지는 아파치 기동시에 터미널이나 /var/log/apache2/error.log 파일로 출력이 되는데, 아파치 웹서버 운용에 지장이 있는 에러 메시지는 아니다. 그냥 둬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신경쓰이니 없애도록 하자.
ServerName 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서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을 결정하지 못한다니 ServerName 을 지정하도록하자. 버추얼 호스트 설정에서 ServerName 을 지정하고 있거나, 특별히 사용하고 있는 호스트명이 없다면 localhost 를 사용한다.
tee 명령은 화면 출력 내용을 파일과 화면 출력 양쪽으로 보내는 명령이다. 아래 명령으로 ServerName 을 정의를 servername.conf 파일에 쓰고, 아파치에 적용시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