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문제 해결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USB 무선랜 어댑터의 인터넷 접속 끊김 문제 해결 방법 1/2

USB 무선랜 어댑터 TP-LINK의 T4UH를 샀다.

며칠 잘 쓰고 있었는데 인터넷이 자꾸 끊긴다. 네트워크에 접속은 되어 있는데 인터넷 접속 없음이라고 계속 뜨거나 혹은 무선랜 어댑터가 접속 안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서버 컴퓨터의 무선랜 연결을 브릿지해서 데스크탑으로 인터넷을 공유해서 쓰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그 탓인줄 알고 윈도우 네트워크 브릿지 접속에 문제를 계속 검색해서 이것저것 해 봤는데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미국 아마존 고객 리뷰에서 TP-LINK의 드라이버를 쓰지 말고 칩셋인 Realtek 8812AU 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된다는 것을 보고 실행.
끊기는 빈도는 확실히 줄었는데 여전히 가끔은 끊기는 현상이 발생.

최종적으로는 무선랜 상세설정에 프로퍼티 설정에 있는 usb switch mode 를 usb mode 2 로 해서 USB 2.0 접속으로 고정하니까 끊기는 현상이 사라졌다.
이것저것 찾아 보는 와중에 Qos/WMM 설정을 끄라던가 하는 얘기가 있었는데 내 경우는 Qos 를 끄게 되면 무선 접속 속도가 70-100Mbps 정도로 떨어지고 체감적으로도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려져서 Qos/WMM 설정은 켜둔 채로 두었다.

일단 하루 정도는 끊기지 않는걸 확인하고 포스팅한다.
TP-LINK의 T4UH 뿐만 아니라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다른 USB 무선랜 어댑터에서도 이 방법이 도움이 될듯하다.

// 추가 //
이틀 후에 끊김… 해결 방법을 찾아서 다시 포스팅했다.
아래 링크를 참조.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는 USB 무선랜 어댑터의 인터넷 접속 끊김 문제 해결 방법 2/2

uTorrent has crashed. 에러 해결방법


광고 없는 qbit토렌트를 씁시다. uTorrent랑 비슷해요.
https://www.qbittorrent.org/

잘 쓰던 uTorrent 프로그램이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uTorrent has crashed.
uTorrent has crashed. A crash dump has been saved as…

최신 버전 재설치로 해결은 되는듯한데 광고가 없는 옛날 버전이 더 좋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 보기 위해서 구글링 해 봤다.
해결 방법은 윈도우의 hosts 파일에

이 내용을 써 주면 된다.

자세한 해결 방법

요즘 윈도우는 hosts 파일이 관리자 권한으로만 편집이 되기 때문에
시작버튼-어플리케이션-윈도우 액세서리-메모장 위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로 실행을 선택한다.
메모장이 실행되면 메모장 왼쪽 위에 파일-열기 메뉴를 선택해서 (여기서 파일 확장자를 모든 파일로 선택해야 hosts 파일이 보인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여기 있는 파일을 연 다음에 파일 제일 아래에 한줄 추가해서 (따옴표 없이)”127.0.0.1 cdn.ap.bittorrent.com”를 쓰고 저장해 주면 된다.

재기동 필요 없이 uTorrent 를 실행해 보면 잘 실행될 것이다.

uTorrent 3.4.3 버전에서 테스트.

우분투 14.04 LTS cron crontab 설정 및 로그파일 확인

DNSZi의 DNS 서버로 변경하고 서버의 IP를 DDNS로 자동 갱신하기 위해서 우분투에서 crontab 설정을 찾아봤더니 제대로 나온게 안보여서 포스팅해 본다.

현재 등록된 작업내용을 확인

새작업 추가하기

명령을 실행하면 사용할 에디터를 고르라고 나오던데 추천하는 nano를 선택.
등록할 작업을 파일에 써 넣고 저장하고 종료하면 된다.

‘sudo crontab -e’를 하면 root로써 작업을 등록할수도 있다. 하지만 DDNS 갱신명령 정도는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어서 그냥 유저 계정으로 등록했다.

등록한 작업이 실행되는지는 크론탭 로그 파일을 보면 되는데

이 명령으로 확인 가능하다. (tail을 파일 끝을 보는 명령 -F 옵션은 파일이 갱신되면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옵션)

우분투 14.04에서 크론 로그는 /var/log/cron 찾아봐야 없으니 /var/log/syslog 안에서 찾자.

CentOS 7.1 root 패스워드 재설정

CentOS 7.1 에서 root 패스워드를 잊어버렸을 때 재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entOS 를 설치할때 썼던 설치 디스크가 필요하다. 만약 설치 디스크가 없을 경우에는 Download CentOS 여기에서 Minimal ISO 를 받아서 굽던지 가상환경이라면 그대로 마운트해서 사용하면 된다.

설치 디스크를 넣고 부팅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온다. 아래 그림들을 순서대로 따라하면 된다.

Troubleshooting 을 선택
Troubleshooting 을 선택
Rescue a CentOS system 을 선택
Rescue a CentOS system 을 선택
화살표키로 Continue 를 선택하고 엔터
화살표키로 Continue 를 선택하고 엔터
쉘에서 빠져나가면 자동으로 리부팅 된다는 설명. 엔터를 누르자.
쉘에서 빠져나가면 자동으로 리부팅 된다는 설명. 엔터를 누르자.
엔터를 누르자.
엔터를 누르자.
chroot /mnt/sysimage
chroot /mnt/sysimage

아래 명령어를 입력

sudo passwd root
sudo passwd root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새로운 패스워드를 물어보면 새 패스워드를 확인까지 두번 입력하면 된다.

rm -f /.autorelabel

SELinux 관련해서 하는 작업인 것 같은데 정확하게 뭘 하는건진 모르겠지만 하라니까하자.

이후에 exit 명령을 두번 입력해서 쉘을 나오면 자동으로 부팅이 된다. 부팅 후에는 변경한 패스워드로 로그인이 될 것이다.

참조 – Red Hat Customer Portal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우분투 서버 14.04 LTS 아파치 apache2 설치 후 기동시에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될 때 해결 방법.

이 메시지는 아파치 기동시에 터미널이나 /var/log/apache2/error.log 파일로 출력이 되는데, 아파치 웹서버 운용에 지장이 있는 에러 메시지는 아니다. 그냥 둬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신경쓰이니 없애도록 하자.

ServerName 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서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을 결정하지 못한다니 ServerName 을 지정하도록하자. 버추얼 호스트 설정에서 ServerName 을 지정하고 있거나, 특별히 사용하고 있는 호스트명이 없다면 localhost 를 사용한다.

tee 명령은 화면 출력 내용을 파일과 화면 출력 양쪽으로 보내는 명령이다. 아래 명령으로 ServerName 을 정의를 servername.conf 파일에 쓰고, 아파치에 적용시키자.

conf 파일을 활성화

아파치 리로드

이제 /var/log/apache2/error.log 파일을 봐도 처음과 같은 에러는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