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mitash의 모든 글

일본에서 일하고 있는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우분투 서버 14.04 LTS SSH 접속 설정

하이퍼v(hyper-v)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면 가상머신접속 화면에서는 한글이 깨지게 된다.
그럴때는 테라텀(teraterm) 등의 SSH 접속 프로그램으로 서버에 접속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서버는 항상 켜두고 원격에서 접속해서 서버를 관리하는게 여러모로 편리하니 SSH 접속 설정을 해 두는 것이 좋다.
이 글에서는 SSH 접속을 위한 설정을, 다음 글에서 테라텀을 이용한 접속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다.

SSH 설치

openssh 는 우분투 서버 설치 마지막에 선택해서 설치하면 편리한데, 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 명령으로 설치 할 수 있다.

SSH 포트번호 변경

SSH 는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웹서버나 FTP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 외부에 공개할 서버의 경우에는 SSH 의 기본 포트번호인 22번 포트로 공격해 오는 일이 많기 때문에 SSH 의 포트번호를 임의의 포트번호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openssh 데몬의 설정 파일을 편집한다.

예를 들어 포트번호를 1022번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바꾼다.

그리고, 보안을 위해서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금지하라는 글이 많은데 우분투 서버에서 openssh 설치시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설정으로 금지 되어있으므로 신경 안써도 된다.

내용을 설명하자면, without-password는 패스워드를 입력한 root 계정 로그인을 허가하지 않는다는 말인데, 공개키를 만들어서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root 계정 로그인을 허가하겠다는 설정이다. 공개키를 만들지 않으면 당연히 접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root 계정은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설정 파일을 저장하고 빠져 나와서 ssh 서비스를 재기동한다.

netstat 로 설정된 포트가 제대로 열려 있는지 확인해 본다.

sshd_config 에서 설정한 포트가 1022일때 아래와 같은 줄이 나와야한다.

다음 글에서는 테라텀으로 SSH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다.

톰캣 CATALINA_HOME vs. CATALINA_BASE

톰캣에 존재하는 두개의 배치 장소 CATALINA_HOME 과 CATALINA_BASE 의 관한 이야기.
도대체 어디에 디플로이 해야 하는거야!?

환경
우분투 서버 14.04 LTS
톰캣 7.0

기본적인 지식부터 깔아두고 시작하자.
CATALINA_HOME : 톰캣의 인스톨 장소. 실행 파일이 들어있는 bin 폴더가 있다.
CATALINA_BASE : 톰캣의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곳이라고 한다.

카탈리나 홈은 톰캣이 설치 된 장소이고, 카탈리나 베이스는 유저가 디플로이나 설정을 해서 실제로 사용하는 곳 정도로 파악된다.

그런데 헷갈리게도 카탈리나 홈에도 webapp 나 conf 디렉토리가 있고, 실제로 이곳에 war 파일을 넣고, conf에 있는 server.xml을 수정해서 bin 폴더의 startup.sh로 기동하면 잘 작동 된다!
게다가 카탈리나 베이스에서도 webapp 디렉토리에 war 파일을 넣고 conf 디렉토리에 server.xml을 수정하고 service tomcat7 start 를 하게 되면 잘 작동 된다!

차이를 알았나?

카탈리나 홈은 bin 디렉토리에 있는 startup.sh로 기동했을 때 카탈리나 베이스로서 작동한다.
우분투 서버에서 apt-get으로 톰캣7을 설치 했을 경우에
CATALINA_HOME=/usr/share/tomcat7
CATALINA_BASE=/var/lib/tomcat7
이렇게 설정되고 사용자는 CATALINA_BASE/webapps 디렉토리에 war 파일을 전개해서 사용하는게 정석이다.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사용법이 그렇다는 얘기고…

사도(?)의 방법으로 CATALINA_HOME/webapps 디렉토리에 war 파일을 전개해서 CATALINA_HOME/bin/startup.sh 로 톰캣을 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startup.sh로 기동하게 되면 CATALINA_HOME=CATALINA_BASE 가 되어서 /usr/share/tomcat7 디렉토리의 webapps, conf, work 디렉토리를 사용해서 톰캣이 기동하게 된다.
당연히 별도 설정이 없는한은 서버 재기동시 자동 기동 같은건 되지 않는다.

서버가 기동할때 실행되는 /etc/init.d/tomcat7 나 service tomcat 에서는
CATALINA_BASE=/var/lib/tomcat7
로 되어 있기 때문에 /var/lib/tomcat7 디렉토리의 webapps, conf 디렉토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CATALINA_BASE 는 인스턴스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여러개의 톰캣 인스턴스로 기동할 수도 있다.
tomcat7-instance-create 을 참조

결론적으로 실제 서버로서 사용할 때는 자동으로 기동 되는 CATALINA_BASE 에 설정과 디플로이를 하는 것이 정답이고,
그 외에 개발 등의 특별한 목적으로 톰캣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ATALINA_HOME 을 쓰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내 생각에는 이렇게 헷갈리는 구성이 된 이유는
원래(?) 톰캣이 설치 된 디렉토리에서 디플로이 하는 것이 당연했던 예전(또는 우분투 이외의 리눅스)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서가 아닌가 싶다.
실제로 나도 당연한 듯이 CATALINA_HOME 에서 설정 파일을 만지고 startup.sh 와 shutdown.sh 로 톰캣을 재기동 했으니까.
서버 재기동 후에 톰캣이 자동으로 기동 되었는데도 웹어플리케이션은 죽어있었기 때문에 (CATALINA_BASE에는 아무것도 없으니까!) 깨닫게 되었다.

구글링을 해 봐도 영문 포럼에서나 조금 이야기 되고 있는 내용이고, 한글로 된 내용은 없는 듯해서 이렇게 이야기를 풀어 보았다.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common/classes

톰캣 기동시 나오는 에러의 해결 방법.

8 27, 2015 12:56:56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common/classes],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6:57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common],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6:57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server/classes],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6:57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server],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6:57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shared/classes],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6:57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lassLoaderFactory validateFile
警告: Problem with directory [/usr/share/tomcat7/shared], exists: [false], isDirectory: [false], canRead: [false]
8 27, 2015 12:57:02 午前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 init
情報: Initializing ProtocolHandler ["http-bio-127.0.0.1-8080"]
8 27, 2015 12:57:02 午前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 init
情報: Initializing ProtocolHandler ["ajp-bio-8009"]
8 27, 2015 12:57:02 午前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 load
情報: Initialization processed in 4545 ms
8 27, 2015 12:57:02 午前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startInternal
情報: サービス Catalina を起動します

디렉토리가 없어서 에러가 나는 것 같으니 디렉토리를 만들어 준다. 끝.

cd /usr/share/tomcat7
mkdir -p common/classes
mkdir -p server/classes
mkdir -p shared/classes

우분투 root 계정 사용하기 / 잠그기

우분투에서는 보안관계상 기본적으로 root 계정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root 계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sudo나 su 명령을 쓰게 되어 있는데, root 계정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root 접속이 가능해진다.

아래 명령으로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하면 root 계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래 명령을 치고, 위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로 root 계정으로 접속.

위처럼 root 계정을 활성화하면 보안상으로는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root 계정을 사용하는 것은 되도록 자제하는게 좋겠다.

다시 root 계정을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을 사용한다.

root 계정이 잠긴 상태는 아래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L이면 잠긴 상태 P이면 풀린 상태이다.

워드프레스 이미지를 자르는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이미지 자르기 에러
이미지 자르기 에러

워드프레스에서 이미지 자르기에서 발생하는 에러의 문제 해결 방법.

에러 메시지는 아래와 같다.

PHP에서 이미지 관련 처리를 하는 php gd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나오는 에러이다.
우분투 서버 14.04 LTS에서는 아래와 같은 커맨드로 php gd를 설치한다.

다시 이미지 자르기를 해 보면 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