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츄얼 박스를 통한 인터넷 접속시 route 설정에 대해

[PC]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버츄얼 박스 feat. 미꾸라지에서 윈도우의 route 설정을 바꾼다.

route가 뭔가 하면 윈도우에서 인터넷으로 접속할때 어디를 통해서 접속할것인지를 정해둔 설정이다.
윈도우 커맨드 프롬프트(윈도우키 누르고 cmd 입력-마우스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로 실행. route 설정을 바꿀때는 관리자만 가능)을 열어서 route -4 print (-4는 ipv4정보만 보기) 명령을 입력하면 현재 route 설정을 볼 수 있다.
대략 이런 내용…

보는 방법은 [Route] 윈도우 라우팅 테이블 설정 여기 블로그 등에서 보면 된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윈도우에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에서 VPN 프로그램 등 문제가 있는 녀석이 있으면 에러 88을 띄우고 게임을 종료시켜 버리기 때문에 우리가 필요한 VPN 연결은 버츄얼 박스 안에서 해결하고, 윈도우에서는 다른 VPN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버츄얼 박스에 인터넷 연결을 이용한다.
[PC] 마비노기 모바일 해외 접속 버츄얼 박스 feat. 미꾸라지 이 글에서 최종적으로 버츄얼 박스로 통하는 인터넷 연결은 IP 192.168.56.2인데, 윈도우가 인터넷을 연결하려고 할때 이 IP를 사용하도록 해야한다.
여기서 route 명령이 필요한데. 먼저 route delete 0.0.0.0 명령으로 모든(0.0.0.0) IP로 나가는 접속에 대한 기존 설정을 지운다.
그런 다음 route add 0.0.0.0 mask 0.0.0.0 192.168.56.2 metric 1 명령으로 모든(0.0.0.0) IP로 나가는 접속을 192.168.56.2 로 연결하고, metric 1로 최우선적으로 적용시킨다.

이 설정 이후부터 모든 인터넷 접속이 버츄얼 박스를 통하게 되는데 버츄얼 박스 안에 openwrt에서 미꾸라지 연결 중이면 VPN 연결을 통할것이고, 미꾸라지 연결 중이 아니더라고 버츄얼 박스를 통해서 인터넷을 하게 된다.
이 설정은 윈도우 재시작시 지워지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버츄얼 박스가 종료 되면 인터넷 접속이 안되게 된다. 초보자가 route 설정을 인터넷 검색도 못하는 상태로 복구시킨다? 너무 어려운 문제다.
그래서 미꾸라지 메뉴얼에는 윈도우 재시작시에는 지워지는 명령으로 알려주고 있는거다.

하지만 아래 명령으로 route 설정을 고정시킬 수 있다.

-p 옵션을 주면 영구적인 설정이 된다. (그래도 route delete 0.0.0.0 하면 지워짐. 재시작시 안지워지는 것 뿐.)
단, 이렇게 하는건 추천하지 않는다. 윈도우가 버츄얼 박스가 기동되지 않으면 인터넷이 안되기 때문에…

마비노기 게임 후에 버츄얼 박스도 끄고 인터넷을 원래대로 돌리고 싶으면
route -f 명령으로 모든 route 설정을 지우고, 윈도우키 누른 후 npca.cpl 입력해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으로 가서 인터넷 연결에 사용하는 유선랜, 무선랜 어댑터를 무효화 했다가 다시 유효화 하면 route 설정이 돌아온다.
안돌아올경우에는 어댑터의 ipv4 설정을 만져줘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윈도우 재시작 후, 버츄얼 박스 없이 인터넷이 되는 상태에서 route -4 print 명령으로 현재 설정(게이트웨이 IP를 봐둔다)을 봐두고 버츄얼 박스로 연결하는 설정으로 게임 하다가, 게임 끝나면 다시 route delete 0.0.0.0 으로 모든 IP에 대한 설정을 지우고, 처음에 봐둔 설정을 다시 입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인터넷이 복구 되기는 하는데 설정이 꼬이는지 내 환경(고정 IP 사용)에서는 약간 느리거나 해서, 결국 npca.cpl 치고 인터넷 연결된 어댑터의 ipv4 설정으로 들어가서 직접 디폴트게이트웨이 설정을 입력하게 된다.
고정 IP를 사용하지 않고 DHCP 자동할당 IP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문제가 없을 수도 있겠다.

어쨋든 잘 모를때에는 route -p add는 안쓰는 것이 좋다라는 이야기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