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문제 해결

우분투 서버 22.04 LTS 공개키 방식 SSH 접속이 안됨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ARM 서버를 생성해서 최신 우분투 22.04 LTS를 운영체제로 선택했는데, SSH 접속이 안되서 한시간 정도 헤맸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는 서버를 생성할 때 SSH 접속용 공개키를 생성하거나 등록해야만 SSH 접속을 사용할 수 있는데,
기존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던 서버에 등록한 공개키를 등록해서 서버를 생성.
서버 기동 완료 후에 SSH 접속을 하면 아래 에러가 발생. (MobaXterm에 표시되는 에러 메시지)

서버 접속조차 불가능하니 로그를 볼 수도 없고, 한참 헤맸다.

결국 기존 서버에서 ssh -i 옵션으로 개인키를 지정하니 접속이 되더라 (왜 되는건지…?)
접속 에러가 기록된 /var/log/auth.log 파일을 보면

이런 에러 내용이 찍혀 있는데, 암호화 알고리즘이 문제인것 같아서 좀 검색해 보니…

OpenSSH 8.8부터 SHA-1 알고리즘으로 작성한 RSA 인증은 무효화 되었다고 한다.
서버 생성할 때 등록했던 예전부터 사용하던 키쌍이 2년 정도 된 오래된것이니 아마 그걸로 작성했던듯.

ssh-keygen 커맨드로 새로 키를 생성해서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
아무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3072bit RSA(SHA256)로 작성 되니 그걸 사용하면 문제 없다.

일단 ed25519가 더 좋은것 같으니… 이걸로 작성해서 사용해야겠다.

참고 사이트
RSA, ED25519 차이(성능 등)
https://naleejang.tistory.com/218
SSH keys
https://wiki.archlinux.org/title/SSH_keys

우분투 서버 22.04 USB 무선랜 어댑터(Realtek 8812AU) 설치

우분투 서버 22.04버전에서 USB 무선랜 어댑터 TP-LINK Archer T4UH로 인터넷 접속하기까지 과정.

기본적으로 Realtek 8812AU 칩셋을 사용하고 있는 USB 무선랜 어댑터는 아래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인스톨하면 된다.
https://github.com/aircrack-ng/rtl8812au
인스톨시 dkms가 필요하므로 드라이버 인스톨 전에 먼저 인스톨 하자.

netplan 설정 파일을 수정해서 무선랜으로 접속하도록 설정. 고정 IP를 사용할건데, DHCP4를 true로 하면 자동할당IP로 가능하다.

설정 확인. 문제가 있으면 알려준다.

설정 적용.

ifconfig, ping으로 접속 확인하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먼저 억세스포인트, 패스워드를 따음표로 감싸지 않아서 아마 문제가 됐던거 같고,
제일 중요한건 무선 공유기에서 암호화 방식을 WPA로 설정했을 경우, 아무런 에러도 없이 접속이 안되는데 여기서 고생했다.

WPA 방식을 지원하는 팩키지를 설치해야한다.

netplan 다시 적용하고 몇초 정도 기다리면 iwconfig에서 접속이 된걸 확인 할 수 있다.

엑스박스 시리즈 코디에서 SMB 사용하기

엑스박스 시리즈에서 코디(kodi)를 설치하면 최신 버전(내 경우 18.9)에서는 SMB를 지원하지 않는다.
윈도우에서 폴더 공유를 하면 SMB 로 공유 되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간단하게 공유해서 쓸때는 SMB를 많이 쓰게 되는데, 너무 불편해서 방법을 찾아봤다.

SMB 활성화 방법

애드온 -> 내 애드온 -> 가상 파일시스템 -> SMB Support(libsmb2) 선택한 상태에서 A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팝업메뉴가 뜨는데 사용하기를 선택하면 활성화 된다.

코디 smb 활성화 상태
SMB 활성화하기 전에는 없었던 윈도우 네트워크(SMB) 가 추가되어 있다.

별것도 아닌데 이거 찾는데 꽤 고생했다.
SMB 쓰는 사람이 많을텐데 이걸 왜 꺼두는지 모르겠다.

Xbox series x 스피커 오디오 변경시 에러 코드 0x80bd0009

엑시엑을 오래된 PS3 시절 구닥다리 홈시어터 5.1ch 스피커로 연결해서 엑박 설정에서 5.1ch로 설정하려니 에러가 발생. 에러 코드 0x80bd0009.
검색 해 보니 엑시엑 이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만나게 되는 에러인듯한데 한글로 된 설명은 없어서 써 본다.

에러코드 0x80bd0009

해결방법

설정-일반-TV와 디스플레이 옵션-비디오 화질 및 오버스캔-디스플레이
HDMI 선택 후, 수동 설정 사용 버튼 누르면 화면이 작아진다.
이전 설정 메뉴인 비디오 화질 및 오버스캔으로 되돌아 가서 해상도를 각자 TV나 모니터의 해상도로 다시 맞추면 화면 크기는 다시 돌아온다.

이제 설정-일반-볼륨과 오디오 출력-스피커 오디오
5.1 비압축이나 7.1 비압축이나 비트스트림 출력을 고르면 0x80bd0009 에러 없이 설정이 잘 된다.

출처: Xbox 1 error code 0x80bd0009

-끝-

golang sciter Unhandled sciter event case: 32768 문제해결

golang에서 sciter 예제 어플을 테스트하는데, 뷰단의 스크립트에서 네이티브 코드쪽 펑션을 호출하는 코드가 있으면 실행이 안된다.

에러코드. Unhandled sciter event case: 32768

sciter의 golang 바인딩인 go-sciter 문제였고, 깃허브의 이슈란에서 힌트를 얻어서 해결했다. https://github.com/sciter-sdk/go-sciter/issues/239
해결 방법은 go.mod 파일에서 go-sciter 버전을 최신버전으로 지정하면 된다.

go.mod

gcc 버전 바꿔보고 별쇼를 다 했는데 역시 포럼을 잘 봐야한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