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Ubuntu Server 14.04 LTS
PostgreSql 설치
| 
					 1  | 
						apt-get install postgresql-9.3  | 
					
pgadmin3는 GUI툴이니 서버 버전 우분투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설치후 아래 명령으로 PostgreSql 콘솔로 진입한다.
| 
					 1  | 
						sudo -u postgres psql postgres  | 
					
새로운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 
					 1  | 
						\password postgres  | 
					
콘솔에서 나가기
| 
					 1  | 
						\q  | 
					
초기 상태에서는 로컬에서 밖에 접속 할 수 없다.
원격으로 pgAdmin등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먼저 pg_hda.conf에 접속 가능한 원격지 컴퓨터의 아이피를 등록한다. 여기에 등록해 두지 않으면 접속이 거부 된다.
| 
					 1  | 
						sudo vi /etc/postgresql/9.3/main/pg_hba.conf  | 
					
제일 아래 추가
| 
					 1  | 
						host all all <서버에접속할원격PC의IP주소>/32 md5  | 
					
예를 들어 원격 컴퓨터의 아이피가 192.168.0.3일때,
| 
					 1  | 
						host all all 192.168.0.3/32 md5  | 
					
다음은 서버 아이피 주소를 등록한다.
| 
					 1  | 
						sudo vi /etc/postgresql/9.3/main/postgresql.conf  | 
					
제일 아래 추가
| 
					 1  | 
						listen_addresses = 'localhost,<PostgreSql가설치된PC의IP주소>'  | 
					
예를 들어서 포스트그레스가 설치된 서버의 아이피가 192.168.0.2일때라면 아래와 같이 쓴다.
| 
					 1  | 
						listen_addresses = 'localhost,192.168.0.2'  | 
					
PostgreSql 서비스 재시작
| 
					 1  | 
						sudo service postgresql restart  | 
					
이제 원격지 컴퓨터에서 접속해 보자.